일제강점기의 도자정책과 그 영향력
글. 엄승희 한국 근대 도자사 전공, 미술사학자
일제강점기는 시기적 특성상 다양한 도자정책들이 식민통치기구에 의해 시행되었다. 이 정책들로 인해 이전 시기와는 전혀 다른 생산방식이 도입되었고, 생산의 주요 주체 또한 조선에서 일본으로 상당 부분 교체되어 도자산업 전반이 새롭게 전환되었다. 이러한 행정적 조치들은 일부 요업체제에서 근대적 성향을 드러내기도 했지만, 대체로 조선 요업에 적용되는 사례는 지극히 적어 정책의 주된 본질이 일제 통치에 연루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조선총독부와 이왕직(李王職)을 통해 실현된 도자 관련 정책들은 당대 제작구조는 물론 교육, 이데올로기적 인식 전환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 주요 정책으로 간주된다.
우선 조선총독부는 도자공예를 촉진하면서 동시에 발전적인 식민사업으로 이끌기 위한 제도적 장치와 교육, 연구 등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했다. 그 가운데 도자산업을 부흥시키려는 명목하에 시행한 연구개발 및 조사사업은 관립 부속기관, 단체들의 협조를 통해 매우 체계적으로 전개되어 성공적인 결실을 거두었다.
대표적으로 강점 초기부터 총독부 산하 기관이었던 공업전습소(工業傳習所) 도기과(陶器科)와 중앙시험소(中央試驗所) 요업부(窯業部)를 중심으로 도자교육의 활성화와 연구·조사를 두 축으로 전개하였으며(도 1), 무엇보다 중앙시험소에서 시행된 다양한 도자정책들은 향후 관련 분야의 토대가 될 만큼 효과적인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었다.
중앙시험소 요업부, 요업제품 개발, 일제강점기
중앙시험소는 1906년 일본이 만주국에 설립한 남만주철도회사(南滿州鐵道株式會社)의 부속 중앙시험소를 모본(模本)으로 한 가운데 1912년 경성에 설립되었다. 총독부는 시험소 설립을 통해 조선의 공업과 공예에 관한 시험, 분석, 감정 사무 등을 관장하고자 했다.
<</span>본 사이트에는 일부 내용이 생략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도예 2021년 8월호를 참조바랍니다. 정기구독하시면 지난호보기에서 PDF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