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년 도자특화 인재 창업·창직 지원사업 접수_2025.3.18.~4.11.
- 한국세라믹기술원이 이천 지역 도자산업 활성화를 위해 『2025년 도자특화 인재 창업·창직 지원사업』을 공고했다. 이번 사업은 도자 분야의 창의적 인재...
- 2025-04-01
-
- 2025년 ‘우수공예품지정제’ 공모 시작_접수 4. 7. ~4. 11.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하 공진원)이 ‘2025년 우수공예품지정제(K-Ribbon)’ 공모 접수를 시작한다고 26일 밝혔다. 실용성과...
- 2025-04-01
-
- 차와 공예가 만난 자리 <2025 티앤크래프트페어> 성황리 개최
- 3월 20일부터 23일까지 서울 SETEC에서 열린 가 성황리에 마무리 됐다. 올해 첫 차 박람회로 주목받은 이번 행사는 전통 차 문화와 현대 공예가 한자리에 모인 뜻...
- 2025-04-01
-
- 25년 만에 독일서 한국 문화의 정수 선보이다 《백 가지 행복, 한국문화특별전》 드레스덴 성에서 개막
- 국립중앙박물관과 독일 드레스덴박물관연합(SKD)이 공동 주최한 《백 가지 행복, 한국문화특별전》이 3월 15일부터 8월 10일까지 독일 드레스덴 성(레 지덴츠 궁...
- 2025-04-01
-
- 국립청주박물관, 특별전 《거울, 시대를 비추다》 열어
- 국립청주박물관(관장 이양수)이 2025년 상반기 특별전 《거울, 시대를 비추다》를 3월 21일부터 7월 20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거울을 매개로 고대인의 삶...
- 2025-03-31
-
- 이천시·한국세라믹기술원 <2025 도자 명장과 함께하는 도자 디자인 공모전> 개최_2025.2.17.~4.17.
- 이천시와 한국세라믹기술원이 공동 주관하는 이 2월 17일부터 4월 17일까지 접수를 진행 중이다. 이번 공모전은 참신한 도자 디자인을 발굴하고 이를 도자 명장...
- 2025-03-31
-
- 국립현대미술관, 〈2025 미술은행·정부미술은행 작품 구입 공모〉 접수_2025.3.13.~4.3.
-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김성희)은 동시대 미술 생태계의 활성화와 다양한 창작자 발굴을 위해 〈2025 미술은행·정부미술은행 작품 구입 공모〉를 4월 3...
- 2025-03-31
-
- 제1회 <부안 상감 도자작품 대학생 공모전> 개최_2025.7.1.~7.4.
- 고려청자의 본고장 부안에서 상감 도자 미래 이끌 인재 찾는다전라북도 부안군이 상감 기법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도자 문화의 창의적 계승을 도모하기 위...
- 2025-03-31
-
- <2025 청주국제공예공모전> 접수_2025.3.24.~5.2.
- 국내 최대 규모의 국제 공예 플랫폼, 이 3 월 24일부터 공식 접수를 시작했다. 이번 공모전은 오는 9월 열리는 제13회 청주공예비엔날레의 핵심 프로그램 중 하...
- 2025-03-31
-
- 제2회 <유리지공예상> 공모
- 서울시, 제2회 공모 시작서울시와 서울공예박물관이 한국 공예문화의 미래를 이끌 인재를 발굴하기 위해 을 오는 12월 개최한다. 본 상은 현대공예 1세대를 대...
- 2025-03-31
-
- 국립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재개관으로 인류 역사를 새롭게 조명
- 국립중앙박물관은 지난 2월 15일, 새롭게 단장한 선사고대관을 재개관하며 “사람을 다시 보다, 세상을 연결하다, 내일을 준비하다”라는 비전을 제시했...
- 2025-03-07
-
- 김해공예창작지원센터, 공예강사 인력풀 상시 모집
- 김해공예창작지원센터가 공예 강사 인력풀 등록을 2월 24일부터 상시 모집한다. 이번 모집은 다양한 공예 분야에서 전문성을 가진 인재를 발굴해 지역 공예 문화 발전을 지원하고자 마련됐다. 이번 상시 ...
- 2025-03-07
-
- 국가유산진흥원 <2025 K-문화상품 공모전> 개최 서류접수_2025.4.9.~4.11.
- 국가유산진흥원이 전통문화의 현대적 재해석을 목표로 을 오는 4월 9일(수)부터 시작한다. 공모 주제는 국가유산과 궁궐, 왕실문화를 활용한 문화상품으로, 도...
- 2025-03-07
-
- 국립박물관문화재단 <2025 뮷즈 공모전> 개최 서류접수_2025.1.23.~3.13.
-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이 공모전을 통해 한국 전통문화, 특히 국립박물관 소장 유물을 활용한 도예 및 공예 상품을 발굴한다. 접수는 1차 서류 접수(1월 23일~3월 ...
- 2025-03-07
-
- 디올 2025 여름 남성 컬렉션, 도예가 힐턴 넬의 예술혼으로 피어나다
- 지난 2024년 6월 21일, 파리 패션 위크에서 공개된 디올 2025 여름 남성 컬렉션은 도자예술과 패션의 만남으로 전 세계의 이목을 끌었다. 디올의 아티스틱 디렉터 킴 존스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저명한 도예...
- 2025-03-07
-
- 국립중앙박물관, ‘상형청자, 전통의 재해석과 확장’ 라운드테이블 열어
-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이 지난 2월 8일(토) 교육관 제1강의실에서 라운드 테이블 을 개최했다. 이 행사는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의...
- 2025-03-07
-
- 울주문화재단, 2025 제12회 대한민국옹기공모전 서류 접수_2025.4.11.~4.12.
- (재)울주문화재단이 한국 도자예술의 대표적 유산인 옹기를 중심으로 을 오는 4월 11일(금)부터 4월 12일(토)까지 접수 받는다. 공모는 전통 옹기와 관광기념품 ...
- 2025-03-07
-
- 강진군, 고려청자 전통 계승하는 <2025 강진청자 물레경진대회> 개최
- 신청기간: 2025년 1월 20일~2월 15일강진군이 고려청자의 전통을 계승하고 지역의 도예 문화를 활성화 하기 위한 를 개최한다. 제53회 강진청자축제의 일환으로 ...
- 2025-02-12
- 전시더보기
-
-
- 이동식의 달항아리_2025.1.17.~2.15.
- 1. 17. ~2. 15. 운중화랑 전시 전경달항아리, 피안의 세계를 담다18세기 잠시 나타났다 사라졌다고 여겼던 백자대호가 300년이 지나 다시 주목 받는다. 달항아리가 가지는 동 시대성을 의미하는 것일까? 점차 개별화되고 간결한 미를 추구하는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이만큼 부합하는 것도 없다. 무채색 흰 빛깔과 살짝 일그러지며 흐르는...
-
- 2024 고흥분청문화박물관 입주작가 성과 기획전 《분청변주》_2025.1.27.~3.30.
- 1. 27. ~3. 30. 고흥분청문화박물관 기획전시실젊은 도예가들의 3색 분청 변주곡2024년 고흥분청문화박물관 레지던시 프로그램에는 윤준호, 전희은, 이정빈 3명의 젊은 작가들이 입주해 작업했다. 윤준호 작가는 올해 레지던시 입주 5년 차로 4년간 레지던시에서 계획하고 실험, 모색해 온 것들을 정리, 완성하는 동시에 올해는 특별히 귀얄과 분.
-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_2024.11.26.~3.3.
- 2024. 11. 26. ~3. 3.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2상형청자의 다채로운 세계를 조명하다지난 2024년 11월 26일부터 2025년 3월 3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한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는 고려 시대 상형청자象形靑磁를 단독 주제로 집중 조명하는 전시였다. 상형청자象形靑磁란 인물, 동물, 식물 등의 형상을 본떠 만든 청자...
-
- 《한국현대도자공예:영원의 지금에서 늘 새로운》_2024.11.21.~5.6.
- 2024. 11. 21. ~5. 6.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박정훈30년 만에 다시 보는 한국현대도예현대도예의 태동과 오늘인간과 예술에 관한 논의를 할 때면 흔히 최초의 미술품인 선사시대의 동굴벽화를 화두로 삼는다. 당시의 문화나 신앙 등 사회 상황을 잘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라면 토기나 장신구 등과 같은 초...
-
- 대한민국분청도자대전 15년의 발자취
- 전시전경김해분청도자박물관은 1월 24일부터 3월 30일까지 기획전 시실에서 을 주제로 한 특별 전시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는 우리나라 최초의 분청도자 전국 공모전인 이 걸어온 15년간의 발자취를 조명하고, 현대 분청도자의 흐름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은 분청도자의 우수성과 미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 전통과 현대를 아.
- 작가더보기
-
-
- 꼼꼼하게 찍은 인화문에 그의 인생이 담긴다_김진규
- 투박하지만 자유롭고, 청자나 백자에 비해 다양한 표현 기법으로 한국적 미를 보여주는 분청은 세계 유일 한국에만 있는 도자기다. 철화, 조화, 박지, 상감, 인화 등 무늬를 넣는 방법에 따라 독특하고 다양한 미감을 보여준다. 그 중 인화문 작업에 매료되어 25년간 인화분청을 만들어 온 김진규 작가는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작품을 통해 .
-
- 도예가 한종규 흙으로 구현한 순수 추상
- 「variation」 39.5×39.5×6cm | 슬립캐스팅, 슬립소지, 안료, 백매트유, 수금 | 2022최근 동시대 도예의 흐름을 살펴보면, 현대 도예가 현대미술에서 다루는 다양한 표현기법이나 작업의 주제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특히 작가들의 작업 주제에 있어 다변화가 이루어진 점이 주목된다. 형태와 색상 등 기본적인 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