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임재현《유연한 기하학 Flexible Geometry》_2025.5.21.~7.13.
5. 21. ~7. 13. 서울공예박물관디지털 기술과 수공예적 감각이 만나 기하학적 조형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임재현 작가는 정교하게 설계된 플리츠 패턴을 출발점으로 삼아, 흙이라는 물질과 가마 소성 과정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조형 언어를 도자라는 매체로 풀어낸다. 플리츠는 접히고 펼쳐질 때마다 다른 형태를 드러내며, 특히 인...
-
《이상한 물건들: The Strange Things》_2025.6.19.~7.26.
6. 19. ~7. 26. Gallery SP갤러리 SP에서 7월 26일까지 열리는 기획전 《이상한 물건들》은 여섯 명의 작가들이 도자를 통해 사물의 개념을 낯설게 재구성하는 실험적 전시다. 레나 쿠도, 문이삭, 문혜주, 오제성, 이은영, 최수진 작가는 일상의 오브제를 흙으로 빚으며 익숙한 형상과 기능을 교란하고, 인간과 사물, 신체와 물질 간의 감각적 접면을 ...
-
단산 김영태 《無作爲, 물레와 가마로부터》_2025.5.23.~6.15.
5. 23. ~6. 15. 티하우스 하다경남 사천 ‘곤명요’의 단산 김영태 작가의 전시 《無作爲, 물레와 가마로부터》는 흙과 불이 만들어내는 자연의 미학을 깊이 있게 조명했다. 오랜 시간 이도다완을 시작으로 수을토土를 탐구해 온 작가는 물레 위에서 빚어낸 자연스럽고 힘 있는 선과 가마 속에서 태어난 자유롭고 깊은 멋과 색을 통해 도...
-
황아람 《유연한 조각들의 합》_2025.6.12.~7.4.
6. 12. ~7. 4. 비채아트뮤지엄비채아트뮤지엄의 특별초대전인 황아람 작가의 이번 전시에는 「틈새의 그릇」, 「조각보 그릇」, 「mimic bag 시리즈」, 「조각보 고리」 등 40여 점의 정형 및 비정형 도자 작품을 선보인다. 작가는 외증조모가 만들었던 뚜껑 있는 대나무 바구니에서 영감을 받아, 점토를 실처럼 뽑아 바구니처럼 엮는 독특한 방식...
-
심윤주 《도자와 민화가 노닐다》_2025.6.4.~6.9.
6. 4. ~6. 9. 갤러리B심윤주 작가는 전통 민화의 따뜻한 색감과 상징을 바탕으로 창작 민화와 도자 조형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품들을 선보였다. 작가는 민화가 지닌 발복과 행운의 메시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동화적 상상력을 더한 조형적 실험을 통해 입체적 민화를 탄생시켰다. 확대되고 변형된 상징 소재들은 그림과 도자가 하나로 융...
-
심정보 도예전 《FLOWER》_2025.5.27.~6.1.
5. 27. ~6. 1. 대백프라자갤러리 B관대백프라자갤러리에서 국내 첫 개인전을 마련한 심정보 작가의 이번 전시는 ‘꽃FLOWER’을 주제로 백자 세라믹 조형 박스를 통해 절제된 미감과 생명력을 상징하는 작품들을 선보였다. 작가는 자연의 꽃과 나무의 생명력을 조형의 기본 요소인 선으로 표현하고, 흙이 들려주는 자연의 깊이와 고요한 시...
-
성석진 《UNIVERSE》_2025.6.4.~6.15.
6. 4. ~6. 15. 세종뮤지엄갤러리세종대학교 세종뮤지엄갤러리 2관에서 열린 성석진 작가의 기획초대전 《UNIVERSE》는 한국 전통 도자의 미학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50여 점의 작품을 선보였다. 작가의 여주 작업실에서 마주한 밤하늘의 별빛과 자연의 영감을 담은 ‘UNIVERSE’ 시리즈는 백유, 재유, 수금 등 다양한 유약을 활용해 도자의 표...
-
《괴물소환》_2025.4.24.~6.7.
4. 24. ~6. 7. 대구문화예술회관 미술관 스페이스 하이브대구문화예술회관 미술관에서 열린 《괴물소환》은 전통 유물과 현대미술을 통해 괴물의 다층적 의미를 탐구했다. 괴물을 시대의 불안과 욕망을 반영한 존재로 조명하며, 상상의 산물이자 문화적 상징으로 재해석했다.전반부 고려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유물 31점은 고문헌과 희귀 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