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9]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白磁象嵌牡丹紋瓢形甁
- 사진1)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조선시대 15세기. 높이 19cm, 입지름 2cm, 바닥굽 지름 5.8cm태조 이성계의 조선왕조가 시작되면서 사회, 정치, 문화...
- 2025-04-02
-
- [소소담화39] 한국 공예의 하이엔드 high-end화와 전통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많은 소상공인이 어려움을 겪고 국내 산업 생태계의 생산성이 약화하였다지만, 미술과 공예계는 호황...
- 2025-04-02
-
- 2025 중국 랴우후 장작가마 동계 캠프
- 중국 윈난성 취칭시 랴우후는 1,200년 도자공예 역사를 가지고 있는 주로 생활 도자기를 생산하여 중국의 서남부지역에 공급해 온 작은 마을이다. 중국도 자사...
- 2025-04-02
-
- Ceramic Brussels 2025_ 흙과 불이 나누는 이야기, 현대도예
- 전시장 전경벨기에 브뤼셀에서 세계 최초로 시작된 Ceramic Art Fair가 2025년 1월 22일부터 26일까지 4일 동안, 두 번째로 개최되었다. 행사 전부터 주최 측은 상세한...
- 2025-04-02
-
- 도예의 도시 캔자스 시티 예술 교육에서 창작까지 2부
- 새로운 뿌리를 내리는 한국 도예 작가들미국에서 작업하는 한국 작가들에게 “이곳은 집이 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은 익숙한 고민일 것이다. 특히, 도...
- 2025-04-02
-
- [에세이 ESSAY 3] 그릇이 된 생각들_바우단지
- 1992년생 이바우(1993, 04)옹기집 막내 이바우, 이바우는 새로운 일로 옹기일을 붙들었을 때 찾아왔다. 위로 오빠가 ‘물’이고, 언니가 ‘솔’이다. ...
- 2025-04-01
-
- [2024 주요 대학 졸업 전시3]
- 졸업 전시는 미래의 도예가들이 펼쳐 나갈 작품 세계의 예고편이다. 독창적인 조형성이 돋보이는 작품부터 완성도가 뛰어난 작품, 쓰임을 디자인으로 승화한 ...
- 2025-04-01
-
- [2024 주요 대학 졸업 전시2]
- 졸업 전시는 미래의 도예가들이 펼쳐 나갈 작품 세계의 예고편이다. 독창적인 조형성이 돋보이는 작품부터 완성도가 뛰어난 작품, 쓰임을 디자인으로 승화한 ...
- 2025-03-05
-
- [에세이 ESSAY 2] 그릇이 된 생각들_옹관甕棺: 나주임씨순옥지가羅州林氏順玉之家
- 옹관 나주임씨순옥지가 주옹-가로68×세로84.5cm, 부옹-가로53×세로75cm (사진-영암도기박물관)수의는 안동포가 좋다고 한다. 그 안동을 두 번 가봤다. 처음 갈 때...
- 2025-03-05
-
- 도예의 도시 캔자스 시티 예술 교육에서 창작까지
- 필자는 캔자스 시티Kansas City에서 4년째 거주하면서 경험한 이곳의 예술생태계와 지역사회의 관계와 작가들과의 상생 구조, 캔자스 시티 아트 인스티튜트Kansas ...
- 2025-03-05
-
- 혼슈 도자문화 유산 답사기_ 아이치현
- 일본 도자기는 지역마다 독특한 문화와 역사적 특징이 있다. 그동안 일본 도자 답사는 우리나라와 인연이 깊은 규슈九州의 사가현佐賀県 아리타, 이마리, 가...
- 2025-03-05
-
- [소소담화38] 불경기의 시대, 기관 창작지원 사업의 명明과 암暗
- 10월이 되면, 국내 예술문화 관련 기관들이 후년 시행할 예술 창작지원 사업의 공고와 작가/단체 모집을 시작한다. 모집 내용을 보면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창...
- 2025-03-05
-
-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8] 청자 원앙모양 연적 靑瓷鴛鴦形硯滴
- 사진1) 「청자 원앙모양 연적」 고려시대. 길이: 9cm, 넓이: 3.8cm, 높이: 8cm원앙새는 천연기념물 제327호로 지정된 보호종으로 예로부터 부부의 백년해로를 상징...
- 2025-03-05
-
- [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 18]
- 본 지면은 경기도자미술관의 소장품을 소개하는 꼭지입니다. 사진 한 점을 통해 기법이나 표현방식, 주목받은 이유 등 다각적으로 살펴보며 과거의 물상과 이...
- 2025-03-04
-
- [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 17]
- 본 지면은 경기도자미술관의 소장품을 소개하는 꼭지입니다. 사진 한 점을 통해 기법이나 표현방식, 주목받은 이유 등 다각적으로 살펴보며 과거의 물상과 이...
- 2025-02-07
-
- 일상 속에 매일같이 쓰이는 공예_ 2024 공예트렌드페어
- 공예의 쓸모와 아름다움을 알리는 축제, 가 지난 12월 12일부터 15일까지 4일간 코엑스 C홀에서 개최되었다. 19번째를 맞이한 이번 페어의 주제는 ‘일상 명품...
- 2025-02-04
-
- 여주시, 신제품 개발과 디자인 지원사업으로 도자산업 생태계 활성화
- 여주시는 도자기 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신제품 개발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있다. 특히 여주도자나날센터의 공동 브랜드 나날을 통해 도자 소공인들과 ...
- 2025-02-04
-
- 제4회 <철화분청사기 산업이 되다 공모전> 시상식 및 수상작 전시
- 문체부장관상 이문현 「계룡의 유희」지난 11월 8일, 올해로 4회를 맞은 공모전의 수상작이 발표됐다. 골프존문화재단과 계룡산철화분청사기연구원이 공동 ...
- 2025-02-03
- 전시더보기
-
-
- 이동식의 달항아리_2025.1.17.~2.15.
- 1. 17. ~2. 15. 운중화랑 전시 전경달항아리, 피안의 세계를 담다18세기 잠시 나타났다 사라졌다고 여겼던 백자대호가 300년이 지나 다시 주목 받는다. 달항아리가 가지는 동 시대성을 의미하는 것일까? 점차 개별화되고 간결한 미를 추구하는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이만큼 부합하는 것도 없다. 무채색 흰 빛깔과 살짝 일그러지며 흐르는...
-
- 2024 고흥분청문화박물관 입주작가 성과 기획전 《분청변주》_2025.1.27.~3.30.
- 1. 27. ~3. 30. 고흥분청문화박물관 기획전시실젊은 도예가들의 3색 분청 변주곡2024년 고흥분청문화박물관 레지던시 프로그램에는 윤준호, 전희은, 이정빈 3명의 젊은 작가들이 입주해 작업했다. 윤준호 작가는 올해 레지던시 입주 5년 차로 4년간 레지던시에서 계획하고 실험, 모색해 온 것들을 정리, 완성하는 동시에 올해는 특별히 귀얄과 분.
-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_2024.11.26.~3.3.
- 2024. 11. 26. ~3. 3.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2상형청자의 다채로운 세계를 조명하다지난 2024년 11월 26일부터 2025년 3월 3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한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는 고려 시대 상형청자象形靑磁를 단독 주제로 집중 조명하는 전시였다. 상형청자象形靑磁란 인물, 동물, 식물 등의 형상을 본떠 만든 청자...
-
- 《한국현대도자공예:영원의 지금에서 늘 새로운》_2024.11.21.~5.6.
- 2024. 11. 21. ~5. 6.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박정훈30년 만에 다시 보는 한국현대도예현대도예의 태동과 오늘인간과 예술에 관한 논의를 할 때면 흔히 최초의 미술품인 선사시대의 동굴벽화를 화두로 삼는다. 당시의 문화나 신앙 등 사회 상황을 잘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라면 토기나 장신구 등과 같은 초...
-
- 대한민국분청도자대전 15년의 발자취
- 전시전경김해분청도자박물관은 1월 24일부터 3월 30일까지 기획전 시실에서 을 주제로 한 특별 전시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는 우리나라 최초의 분청도자 전국 공모전인 이 걸어온 15년간의 발자취를 조명하고, 현대 분청도자의 흐름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은 분청도자의 우수성과 미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 전통과 현대를 아.
- 작가더보기
-
-
- 꼼꼼하게 찍은 인화문에 그의 인생이 담긴다_김진규
- 투박하지만 자유롭고, 청자나 백자에 비해 다양한 표현 기법으로 한국적 미를 보여주는 분청은 세계 유일 한국에만 있는 도자기다. 철화, 조화, 박지, 상감, 인화 등 무늬를 넣는 방법에 따라 독특하고 다양한 미감을 보여준다. 그 중 인화문 작업에 매료되어 25년간 인화분청을 만들어 온 김진규 작가는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작품을 통해 .
-
- 도예가 한종규 흙으로 구현한 순수 추상
- 「variation」 39.5×39.5×6cm | 슬립캐스팅, 슬립소지, 안료, 백매트유, 수금 | 2022최근 동시대 도예의 흐름을 살펴보면, 현대 도예가 현대미술에서 다루는 다양한 표현기법이나 작업의 주제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특히 작가들의 작업 주제에 있어 다변화가 이루어진 점이 주목된다. 형태와 색상 등 기본적인 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