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4 주요 대학 졸업 전시3]
- 졸업 전시는 미래의 도예가들이 펼쳐 나갈 작품 세계의 예고편이다. 독창적인 조형성이 돋보이는 작품부터 완성도가 뛰어난 작품, 쓰임을 디자인으로 승화한 ...
- 2025-04-01
-
- [2024 주요 대학 졸업 전시2]
- 졸업 전시는 미래의 도예가들이 펼쳐 나갈 작품 세계의 예고편이다. 독창적인 조형성이 돋보이는 작품부터 완성도가 뛰어난 작품, 쓰임을 디자인으로 승화한 ...
- 2025-03-05
-
- [2024 주요 대학 졸업 전시1]
- 졸업 전시는 미래의 도예가들이 펼쳐 나갈 작품 세계의 예고편이다. 독창적인 조형성이 돋보이는 작품부터 완성도가 뛰어난 작품, 쓰임을 디자인으로 승화한 ...
- 2025-02-03
-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도자예술전공 단체전 《FACE@CHOT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도자예술전공 단체전 《FACE@CHOTHER》는 두 개의 섹션으로 나뉘어, 대상을 마주하거나 사건을 마주하며 이를 작업으로 풀어내는 9인의 ...
- 2024-12-11
-
- 《다다닭(多多닭)》
- ‘15.7kg’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조사한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닭 소비량이다. 전 세계 맥도날드 매장 수(36,500개) 보다 한국의 치킨 프랜차이즈 매장 ...
- 2024-12-11
-
- 단국대 도예학과 대학원생 단체전
- 단국대 도예학과 대학원 단체전 《연결 Connect》8. 1. ~9. 1. 아트스페이스 트인 갤러리 ‘아트스페이스 트인’이 지역 사회와 상생하고자 마련한 ‘트...
- 2024-10-04
-
- 명지대학교 세라믹디자인공학과 '망댕이통가마 축요' 공개강의
- 명지대학교 세라믹디자인공학과에서는 올해 1학기 개강 이후부터 교수, 학생들이 망댕이통가마를 축요築窯하는 전 과정에 참여하며 가마 번조의 묘미를 한껏...
- 2024-06-03
-
- 글로벌 공예시장을 겨냥한 필드형 도예가 양성,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생활도예과
-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생활도예과는 도예인으로서의 자생력을 배양하기 위해 도예 각 분야 장인의 실습 교육과 현장 참여형 교육을 중심으로 운영 중인 도예&mi...
- 2024-01-30
-
- 홍익대학교 도예·유리과 석사학위 청구전
- 완연한 가을, 홍익대학교 도예·유리과 석사학위 청구전이 지난 10월 9일부터 13일까지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에서 개최되었다. 총 13명의 대학원생1이 참...
- 2023-12-27
-
- 도예전공 대학생 연합동아리 ‘세라믹 플러스’
- 도예전공 대학생 연합동아리 ‘세라믹 플러스’ 동아리 참여 문의 16기 회장 최예은 Ⓣ 010.4524.8618참여작가 강애솔, 김민정, 김민경, 김예진, 김혜민, 김...
- 2023-07-19
-
- 2023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예유리과
- 대학 UNIVERSITY HIGHLIGHTS2023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예유리과 석사학위 청구전홍익대학교 도예유리과 대학원생들의 석사학위 청구전이 지난 4월 3일부터 8일...
- 2023-07-03
-
- [대학] 2023 도예 전공 졸업전시에 뽑은 예비도예가들 ③
- 대학 UNIVERSITY HIGHTLIGHTS2023 도예 전공 졸업전시에 뽑은 예비도예가들 ③ ‘졸업’은 ‘어떤 일이나 기술, 학문 따위에 통달해 익숙해짐.’이란 뜻이...
- 2023-04-27
-
- [도예현장] 2023 홍익대학교 대학원 도예유리과 비평전
- 도예현장 CERAMICS FIELD2023 홍익대학교 대학원 도예유리과 비평전글. 최나운 홍익대학교 대학원 도예유리과 수료 비평전이 진행되는 현장의 모습 홍익대학교 도...
- 2023-04-27
-
- 2023 도예전공 졸업전시에 뽑은 예비도예가들
- 대학 UNIVERSITY HIGHTLIGHTS 2023 도예전공 졸업전시에 뽑은 예비도예가들② 졸업작품전은 새로운 예비 도예가를 발견하는 창구이다. 졸업 작품은 4년간의 배움은 ...
- 2023-03-30
-
- 2023 도예 전공 졸업전시에 뽑은 예비도예가들 ①
- 대학 | UNIVERSITY HIGHTLIGHTS2023 도예 전공 졸업전시에 뽑은 예비도예가들 ①글·정리. 편집부졸업작품전은 잠재력있는 예비 도예가들이 4년간 익힌 다양한 작...
- 2023-02-13
-
- [대학 하이라이트] 도예전공 석사학위 청구전
- [대학 하이라이트 | UNIVERSITY HIGHLIGHTS] 도예전공 석사학위 청구전이 달에 주목하는 석사학위 청구전은 세 개의 연구 작품으로, 심도 깊은 연구와 흥미로운 주제...
- 2022-05-30
-
- [대학 하이라이트] 도예전공 석·박사학위 청구전
- [대학 하이라이트 | UNIVERSITY HIGHLIGHTS]
도예전공 석·박사학위 청구전
이 달에 주목하는 석·박사학위 청구전은 다섯 개의 연구 작품으로, 심도 깊은 연구와 흥미로운 주제를 통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
- 2022-05-02
-
- [대학하이라이트] 도예전공 졸업전시에서 뽑은 예비도예가들 ③
- [대학하이라이트 | University Highlight] 도예전공 졸업전시에서 뽑은 예비도예가들 ③졸업 전시는 학업의 결실을 선보이는 자리이자, 도예가로서 첫발을 내딛는 ...
- 2022-03-31
- 전시더보기
-
-
- 이동식의 달항아리_2025.1.17.~2.15.
- 1. 17. ~2. 15. 운중화랑 전시 전경달항아리, 피안의 세계를 담다18세기 잠시 나타났다 사라졌다고 여겼던 백자대호가 300년이 지나 다시 주목 받는다. 달항아리가 가지는 동 시대성을 의미하는 것일까? 점차 개별화되고 간결한 미를 추구하는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이만큼 부합하는 것도 없다. 무채색 흰 빛깔과 살짝 일그러지며 흐르는...
-
- 2024 고흥분청문화박물관 입주작가 성과 기획전 《분청변주》_2025.1.27.~3.30.
- 1. 27. ~3. 30. 고흥분청문화박물관 기획전시실젊은 도예가들의 3색 분청 변주곡2024년 고흥분청문화박물관 레지던시 프로그램에는 윤준호, 전희은, 이정빈 3명의 젊은 작가들이 입주해 작업했다. 윤준호 작가는 올해 레지던시 입주 5년 차로 4년간 레지던시에서 계획하고 실험, 모색해 온 것들을 정리, 완성하는 동시에 올해는 특별히 귀얄과 분.
-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_2024.11.26.~3.3.
- 2024. 11. 26. ~3. 3.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2상형청자의 다채로운 세계를 조명하다지난 2024년 11월 26일부터 2025년 3월 3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한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는 고려 시대 상형청자象形靑磁를 단독 주제로 집중 조명하는 전시였다. 상형청자象形靑磁란 인물, 동물, 식물 등의 형상을 본떠 만든 청자...
-
- 《한국현대도자공예:영원의 지금에서 늘 새로운》_2024.11.21.~5.6.
- 2024. 11. 21. ~5. 6.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박정훈30년 만에 다시 보는 한국현대도예현대도예의 태동과 오늘인간과 예술에 관한 논의를 할 때면 흔히 최초의 미술품인 선사시대의 동굴벽화를 화두로 삼는다. 당시의 문화나 신앙 등 사회 상황을 잘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라면 토기나 장신구 등과 같은 초...
-
- 대한민국분청도자대전 15년의 발자취
- 전시전경김해분청도자박물관은 1월 24일부터 3월 30일까지 기획전 시실에서 을 주제로 한 특별 전시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는 우리나라 최초의 분청도자 전국 공모전인 이 걸어온 15년간의 발자취를 조명하고, 현대 분청도자의 흐름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은 분청도자의 우수성과 미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 전통과 현대를 아.
- 작가더보기
-
-
- 꼼꼼하게 찍은 인화문에 그의 인생이 담긴다_김진규
- 투박하지만 자유롭고, 청자나 백자에 비해 다양한 표현 기법으로 한국적 미를 보여주는 분청은 세계 유일 한국에만 있는 도자기다. 철화, 조화, 박지, 상감, 인화 등 무늬를 넣는 방법에 따라 독특하고 다양한 미감을 보여준다. 그 중 인화문 작업에 매료되어 25년간 인화분청을 만들어 온 김진규 작가는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작품을 통해 .
-
- 도예가 한종규 흙으로 구현한 순수 추상
- 「variation」 39.5×39.5×6cm | 슬립캐스팅, 슬립소지, 안료, 백매트유, 수금 | 2022최근 동시대 도예의 흐름을 살펴보면, 현대 도예가 현대미술에서 다루는 다양한 표현기법이나 작업의 주제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특히 작가들의 작업 주제에 있어 다변화가 이루어진 점이 주목된다. 형태와 색상 등 기본적인 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