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산 분청사기>전
계룡산 학봉리 가마, 1927년 1992년 발굴품 304점 공개
국립중앙박물관 분청사기실:2007.9.18-2008.2.17
계룡산 분청사기란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계룡산 기슭의 가마터에서 만든 조선시대 분청사기를 말한다. 학봉리 가마는 대체로 15세기 초에 시작되어 16세기 전반까지 자기 생산이 활발했던 곳으로 각종 기법의 분청사기, 회청사기, 백자, 흑유 등을 생산하였다. 그 중에서 가장 독특한 개성을 보이는 것이 바로 철화분청사기로 계룡산 철화분청사기는 장인의 예술혼이 깃든 자유분방한 무늬와 흑백의 조화를 이루는 선명한 색채, 거칠고 빠른 붓놀림이 특징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지난 9월 18일부터 테마전인 <계룡산 분청사기>전을 분청사기실에서 선보였다. 내년 2월 17일까지 열리는 이번 전시는 학봉리 가마에서 나온 발굴품 304점을 공개해 학봉리 가마의 모든 것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특히, 조선총독부가 1927년에 조사했던 학봉리 가마 발굴품과 1992년에 국립중앙박물관과 호암미술관이 재조사한 발굴품을 특별공개해 철화분청사기의 생산지로만 부각되어왔던 계룡산 학봉리 가마의 숨겨진 면모를 종합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조선 15세기 초에서 16세기 전반까지 학봉리 가마에서 제작된 도자기들은 회청사기, 상감분청, 인화분청, 조화박지분청, 철화분청, 귀얄분청, 분장분청, 백자, 흑유 등이 주류를 이룬다.
1927년, 최초의 발굴
학봉리 가마 발굴은 일제강점기인 1927년 조선총독부로부터 의뢰받은 노모리 다다시와 소속직원에 의해 최초로 발굴되어 1929년에 조사결과 보고서인 『계룡산록 도요지 발굴 보관』이라는 제목으로 발간되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가마 7기와 그 주변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1호와 5호 가마를 본격적으로 발굴했다고 한다.
학봉리 가마는 일찍이 그 중요성이 인정돼 1990년 8월 사적 333호로 지정되었으나 사적으로 지정되기 전 유적에 흩어져 있는 자기편을 채취해가거나 도굴이 계속되어 가마의 원형이 심하게 훼손된 상태다.
1992년, 65년 만에 우리 손으로 발굴
국립중앙박물관과 호암미술관은 학봉리 5호 가마를 재발굴해 1927년에 발굴된 잘못된 부분을 수정할 수 있었고, 5호 가마 옆에서 새로운 가마를 발견했다. 즉, 1927년의 발굴도면에는 5호 가마의 전반에 불기둥이 두 개씩 표시되어 있었지만 재발굴 결과 불기둥은 하나씩 배치되어 있었다. 그 다음 해인 1993년에는 이전 발굴한 주변을 다시 조사해 또 다른 가마의 존재 가능성은 찾았으나 본격적인 발굴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계룡산 철화분청의 특징
계룡산 학봉리 가마터에서는 청자, 회청사기, 백자 등의 다양한 도자기가 발견되었지만 대표적인 도자기로는 흑갈색의 추상화된 물고기나 초화문이 힘찬 필치로 거침없이 장식된 철화분청을 꼽는다. 계룡산 철화분청은 간소한 몇 개의 선으로 문양을 그렸지만 힘이 분출하는 듯한 표현이 인상적이다. 이런 문양과 흑갈색의 흙, 그 위에 입혀진 짙은 백토는 계룡산 철화분청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꼽힌다. 두텁고 짙은 백토는 거친 태토를 감추기 위한 의도인지 당시 유행한 백자를 모방하려는 것인지 그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계룡산 철화분청은 분청사기가 쇠퇴하는 1470년대부터 제작되고 융성해 16세기 전반기에 그 명백이 다하는 특별한 역사를 가졌다. 이는 분청사기의 역사에서 보면 쇠퇴하고 소멸하는 시기에 색다른 모습으로 융성해 분청사기의 마지막을 장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학봉리 가마에서 만든 분청사기들
학봉리 가마에서 만들어진 분청사기는 다양한 기법으로 만들어진 특징들이 있다. 버드나무를 선상감한 편병조각과 모란잎을 활달하게 면상감한 접시 조각에서 보여지는 상감분청사기, 작은 국화무늬 혹은 연주무늬 도장을 항아리의 몸체에 빽빽이 채운 인화분청사기, 삼족기의 형태를 하고 있는 작爵모양 제기에서 보여지는 조화분청사기, 산화철 안료를 사용해 추상적이고 익살스럽게 붓으로 그려 장식한 철화분청사기 등은 계룡산 분청사기의 특징을 더욱 돋보여 준다.
분청사기 이외의 도자기
학봉리 가마의 주생산품은 분청사기이지만 흑유도 제작되었으며 흑유와 철화분청사기가 함께 포개 구워진 편도 발견되었다. 또한 백자도 생산되어 백자로 이행해가는 과정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곳에서 만들어진 흑유는 병, 항아리, 귀대접, 귀항아리 등으로 가마터에서 출토된 파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백자는 대접, 접시, 종지 등으로 조선 15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일반적인 백자의 유형과 일치한다. 학봉리 가마에서 출토된 것 중에 귀얄무늬 항아리의 어깨 부분에 백자편이 붙어 있는 채로 발굴되기도 했다.
이번 테마전 <계룡산 분청사기>전은 학봉리 가마의 생산품을 1호부터 7호까지 가마별로 공개하고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철화분청사기 명품과 발굴품을 비교전시해 관람객들의 이해를 한층 더 돕고 있다. 김영원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은 “1927년 최초발굴 이후 80년 만에 계룡산 분청사기의 실체를 재개하는 자리로 일본인들의 손을 거쳐 발굴한 기록과 우리 손으로 직접 발굴한 학술학적인 의의가 크다.”고 전했다. 이 밖에 1927년 발굴과 1992년 재발굴의 주요 장면 및 발굴 성과를 담은 사진을 함께 전시해 그간의 조사 성과까지 일반에 공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