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담 웰치의 벽돌
-
글·사진 최석진 미국리포터
“나의 작업은 사유적, 철학적 그리고 형식상 개념 사이의 균형에 대한 신체적 표명이다.” 도예가이자 비평가이며 최근에는 뉴욕의 그린위치 하우스 포터리Greenwich House P...
- 2009-06-10
-
- 볼Bowl과 빛으로 그린 그림/
-
글 정영숙 아트플랫폼 세인 아트 디렉터
오늘날의 예술작품은 재료와 내용에 있어 다양한 방식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철학자이자 미술비평가인 아서 단토Arthur Danto는 그의 저서 『예술의 종말 이후...
- 2009-06-10
-
- 즉흥적 농담濃淡을 담은 도제陶制캔버스/김순식
- 즉흥적 농담濃淡을 담은 도제陶制캔버스
투박한 화장토 붓질 위로 감도는 철ㆍ동채의 매화문. 잔잔했던 식탁 위를 생동감있는 문양들로 연출해준 (주)광주요의 테이블웨어를 기억할 것이다. (주)광주요...
- 2009-06-10
-
- 기하학적 추상풍경/이명아 Lee, Myung Ah
- 글 정영숙 아트플랫폼 세인 아트디렉터
최근 미술계에 두드러진 현상 중 하나가 전통의 현대화이며, 그러한 현상의 하나로써 전통적인 소재를 차용한 작품들이 눈에 띄고 있다. 민화를 재해석한 작품, ...
- 2009-06-09
-
- 본질만이 머금은 아름다움/임성호 Lim, Sung Ho
- 글 장윤희 본지기자
휼륭한 재료가 맛을 좌우한다맛있는 된장찌개를 끓일 때는 무엇보다 재료가 중요하다. 아무리 좋은 시설이 갖춰진 주방에서 값비싼 냄비에 끓여내어도 그 재료되는 된장 맛이 별로...
- 2009-06-09
-
- Mary Cloonan 메리 클루난
- 글·사진 전신연 미국리포터
필자의 이전 글에서 몇 번 언급했듯이 필자가 사는 볼티모어에는 근처의 도자문화를 주도하는 볼티모어 클레이워크라는 곳이 있다. 2005년 NCECA의 주후원지이기도 했고 전시...
- 2009-06-08
-
- 꿈과 예술혼의 결정체, 도벽/조무호 Jo, Moo Ho
-
글 이연주 본지기자
도자에 취하고 그림에 취하고작가 조무호(72)의 도자인생은 1960년대 부산에 위치한 대한도자공업주식회사에 입사해 그릇에 그림을 그려넣는 일로 시작되었다. 60년대만 하더라도 6...
- 2009-06-08
-
- 변모하는 이 시대의 청자/유광열
- 변모하는 이 시대의 청자유광열글 김태완 본지 편집장
“옛 것을 재현하면 모방이라고 폄하하고, 새로운 것을 시도하면 국적 불명이라고 비판하며, 시대를 넘나들면 잡탕 기법이라고 무시한다.” 전통과...
- 2008-12-24
-
- 미의 절대적 가치 탐구와 흑도黑陶의 여유로운 표정들/원경환
- 미의 절대적 가치 탐구와 흑도黑陶의 여유로운 표정들원경환글 유재길 홍익대학교 미술비평 교수
1993년 일본 동경의 소게츠草月 미술관에서 원경환의 흙 작업과 만남은 잊을 수 없는 추억이었다. 당시 ...
- 2008-12-24
-
- 전과 리차드 노킨
- P {margin-top:2px;margin-bottom:2px;}
전과 리차드 노킨글·사진 전신연 미국리포터
지난 10월 12일 필자가 강의하는 타우슨 대학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볼티모어 클레이 워크Baltimore Clayworks에서 월간...
- 2008-03-05
-
- Ceramic of the Rhythm 쟝-샤를 프롤롱죠
- P {margin-top:2px;margin-bottom:2px;}
Ceramic of the Rhythm
쟝-샤를 프롤롱죠글·사진 이진숙 한향림갤러리 큐레이터
일반적으로 중견작가들이 어느 정도 미술계에서 자신의 입지를 구축하고 나면 더 이상 발전적인 ...
- 2008-03-05
-
- 정신적 오브제 권영식
- P {margin-top:2px;margin-bottom:2px;}
정신적 오브제 권영식글 정영숙 아트플렛폼 세인 아트디렉터
예술에 있어 상징象徵설은 예술가의 단순한 재현이 아닌 예술가의 감성과 주관에 의해서 지각된 대상을 기호화...
- 2008-03-05
-
- 히말라야의 아이들과 아름다운 인연을 이어가는 소년 도예가/안미륵
- P {margin-top:2px;margin-bottom:2px;}
히말라야의 아이들과 아름다운 인연을 이어가는 소년 도예가안미륵
녹록치 않은 무더위의 열기가 8월의 끝자락께로 길게 늘어질 무렵. 지난 22일부터 28일까지 서울 종로구 ...
- 2007-11-09
-
- 반복된 무언의 몸짓/이훈Lee Hoon
- P {margin-top:2px;margin-bottom:2px;}
반복된 무언의 몸짓/이훈Lee Hoon
글|사진 최석진 도예가
Washed바닥은 벌써 흘려진 액체로 흥건하다. 천장 높이 물통에 연결된 가느다란 플라스틱 관에서 백토로 만든 브러시...
- 2007-11-07
-
- 기품있는 푸른 날개짓/정호진 Jeong Ho Jin
- P {margin-top:2px;margin-bottom:2px;}
기품있는 푸른 날개짓/정호진 Jeong Ho Jin
청자는 흙으로 빚어내는 보석이다. 생명력이 있고 하늘과 바다와 산의 ‘푸름’을 담고 있다. 즉 자연을 그릇으로 빚어낸 것이 바로 ...
- 2007-11-07
-
- 석천의 회고전에 부쳐...윤태운Yoon Tae Woon
- P {margin-top:2px;margin-bottom:2px;}
석천의 회고전에 부쳐...윤태운Yoon Tae Woon글 조이현 도예가
80년대 초, 많은 도예인들이 이른바 법고창신法古創新(옛것을 본받아 새로운 것을 창조함)의 법고法古에 매달려 있...
- 2007-11-07
-
- 도예계의 진정한 거인 / 루디 오티오
- P {margin-top:2px;margin-bottom:2px;}
도예계의 진정한 거인글 김학균 도예가 + 자료 및 사진제공 Chris Autio&Montana Museum of Arts and Culture
Rudy Autio :: 루디 오티오
미국 현대 도예의 개척자이자 모든 이들의 친구인 루...
- 2007-10-18
-
- 빛으로 완성되는 환각세계 / 권오훈
- P {margin-top:2px;margin-bottom:2px;}
빛으로 완성되는 환각세계Kwon.Oh.Hoon? 권 오 훈글 김태완 본지 편집장
오차 없는 계산법에 집어넣고 변수 없는 신재료와 기법을 끊임없이 시도해 완성되는 작품°이것은 작...
- 2007-10-18
- 칼럼/학술더보기
-
-
-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9]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白磁象嵌牡丹紋瓢形甁
- 사진1)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조선시대 15세기. 높이 19cm, 입지름 2cm, 바닥굽 지름 5.8cm태조 이성계의 조선왕조가 시작되면서 사회, 정치, 문화의 각 분야에 변화의 바람이 몰아치는 도중에 생활과 밀접한 도자기 또한 고려청자의 틀에서 새롭게 두 갈래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고려시대의 맥을 그대로 이은 조선 상감청자와 중.
-
- [소소담화39] 한국 공예의 하이엔드 high-end화와 전통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많은 소상공인이 어려움을 겪고 국내 산업 생태계의 생산성이 약화하였다지만, 미술과 공예계는 호황이었다. 프리즈frize 열풍이 불었고 키아프KIAF까지 열풍에 편승하며 「코로나 속 미술시장 호황」, 「화랑가 뜨거운 세일」, 「불붙은 경매 시장」, 「아트페어 속 오픈런」, 「완판, ..
-
- [에세이 ESSAY 3] 그릇이 된 생각들_바우단지
- 1992년생 이바우(1993, 04)옹기집 막내 이바우, 이바우는 새로운 일로 옹기일을 붙들었을 때 찾아왔다. 위로 오빠가 ‘물’이고, 언니가 ‘솔’이다. 그래 태어나기도 전에 ‘바우’였다. 딸이면서 ‘바우’를 이름으로 얻었다. 당시 산아제한정책이 있었고 세 번째는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았다. 집에서 낳아야 했다. .
- 뉴스단신더보기
-
-
- 2025년 도자특화 인재 창업·창직 지원사업 접수_2025.3.18.~5.8.(기간연장)
- 한국세라믹기술원이 이천 지역 도자산업 활성화를 위해 『2025년 도자특화 인재 창업·창직 지원사업』을 공고했다. 이번 사업은 도자 분야의 창의적 인재를 발굴하고, 창업·창직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기여를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사업 신청은 4월 11일까지 이메일을 통해 접수받는다. 모집 대상은 이천 지역에서 도자 분...
-
- 2025년 ‘우수공예품지정제’ 공모 시작_접수 4. 7. ~4. 11.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하 공진원)이 ‘2025년 우수공예품지정제(K-Ribbon)’ 공모 접수를 시작한다고 26일 밝혔다. 실용성과 심미성을 두루 갖춘 공예품을 공식 지정하는 이 사업은, 한국 실용공예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장 저변을 확대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2014년 시작된 우수공예품지정제는 올해로 1...
-
- 차와 공예가 만난 자리 <2025 티앤크래프트페어> 성황리 개최
- 3월 20일부터 23일까지 서울 SETEC에서 열린 가 성황리에 마무리 됐다. 올해 첫 차 박람회로 주목받은 이번 행사는 전통 차 문화와 현대 공예가 한자리에 모인 뜻깊은 축제로, 다양한 연령층의 관람객들이 함께하며 차와 공예의 다채로운 세계를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이번 박람회는 전통차부터 현대적인 블렌딩 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의 차...
-
- 25년 만에 독일서 한국 문화의 정수 선보이다 《백 가지 행복, 한국문화특별전》 드레스덴 성에서 개막
- 국립중앙박물관과 독일 드레스덴박물관연합(SKD)이 공동 주최한 《백 가지 행복, 한국문화특별전》이 3월 15일부터 8월 10일까지 독일 드레스덴 성(레 지덴츠 궁)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1999년 에센·뮌헨 전시 이후 25년 만에 독일에서 열리는 최대 규모의 한국문화특별전이다.전시는 ‘행복’을 키워드로, 한국 문화의 정수와 ..
-
- 국립청주박물관, 특별전 《거울, 시대를 비추다》 열어
- 국립청주박물관(관장 이양수)이 2025년 상반기 특별전 《거울, 시대를 비추다》를 3월 21일부터 7월 20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거울을 매개로 고대인의 삶과 사유, 그리고 동북 아시아 문화의 교류 양상을 조명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전시는 ‘제작’, ‘상징’, ‘교류’라는 세 가지 관점 아래 세 부문으로 구성된다. 1...
- 도예마당더보기
-
-
-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9]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白磁象嵌牡丹紋瓢形甁
- 사진1)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조선시대 15세기. 높이 19cm, 입지름 2cm, 바닥굽 지름 5.8cm태조 이성계의 조선왕조가 시작되면서 사회, 정치, 문화의 각 분야에 변화의 바람이 몰아치는 도중에 생활과 밀접한 도자기 또한 고려청자의 틀에서 새롭게 두 갈래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고려시대의 맥을 그대로 이은 조선 상감청자와 중.
-
- [소소담화39] 한국 공예의 하이엔드 high-end화와 전통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많은 소상공인이 어려움을 겪고 국내 산업 생태계의 생산성이 약화하였다지만, 미술과 공예계는 호황이었다. 프리즈frize 열풍이 불었고 키아프KIAF까지 열풍에 편승하며 「코로나 속 미술시장 호황」, 「화랑가 뜨거운 세일」, 「불붙은 경매 시장」, 「아트페어 속 오픈런」, 「완판, ..
-
- 2025 중국 랴우후 장작가마 동계 캠프
- 중국 윈난성 취칭시 랴우후는 1,200년 도자공예 역사를 가지고 있는 주로 생활 도자기를 생산하여 중국의 서남부지역에 공급해 온 작은 마을이다. 중국도 자사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마을이지만 1,000여 년 동안 꾸준히 장작가마를사용하여 생활도자기를 생산해왔고 현재에도 30여 개의 장작가마에서 100여 명의 도예가들이 주로 화병이나 ..
-
- Ceramic Brussels 2025_ 흙과 불이 나누는 이야기, 현대도예
- 전시장 전경벨기에 브뤼셀에서 세계 최초로 시작된 Ceramic Art Fair가 2025년 1월 22일부터 26일까지 4일 동안, 두 번째로 개최되었다. 행사 전부터 주최 측은 상세한 설명과 함께 여러 매체를 통해 적극적으로 아트페어를 홍보하였다. 첫날의 오프닝은 전문가들과 초청객을 위한 행사였고, 두번째 날 부터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었다. 전시장은 올해...
-
- 도예의 도시 캔자스 시티 예술 교육에서 창작까지 2부
- 새로운 뿌리를 내리는 한국 도예 작가들미국에서 작업하는 한국 작가들에게 “이곳은 집이 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은 익숙한 고민일 것이다. 특히, 도예라는 매체는 물성과 시간성을 품고 있으며, 전통과 현대, 지역성과 세계성을 동시에 아우르는 특성을 가지기에, 새로운 환경에서 작업하는 것은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 흙을 빚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