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에서 만난 도예가 김지혜
- 한국에서 만난 도예가 김지혜
생각, 글, 도자 - 흙을 표현하는 새로운 길
내년이면 필자가 한국을 떠난지 만40년이 된다. 유럽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한국을 바라보는 시각에 낯선 부분이 생기는 ...
- 2019-07-17
-
- 베쓰 맥길롭 Beth Mckillop
- 한국 공예와 디자인 큐레이팅에 관해 강연한
베쓰 맥길롭
Beth Mckillop
영국 빅토리아앤앨버트 박물관Victoria&Albert Museum,왕립박물관 중 하나,이하 V&A의 선임연구원인 베쓰 맥길롭이 지난 5월 10일 국...
- 2019-07-17
-
- 일상의 비윤리적 현상을 형상화하다〈박미화〉
- 일상의 비윤리적 현상을
형상화하다
〈박미화〉
4.17~5.18 아트스페이스3
박미화 작가의 열아홉 번째 개인전이 지난 4월 17일부터 5월 18일까지 32일간 아트스페이스3에서 열렸다. 전시장에 들어서자 다...
- 2019-07-17
-
- 유닛에 담긴 완벽한 이상 <이승원>
- 유닛에 담긴완벽한 이상(Ideal) <이승원>
살랑살랑 불어오는 봄바람 속, 를 주제로 한 이승원 작가(35)의 개인전이 지난 4월 3일부터 9일까지 서울 경인미술관에서 열렸다. 전시장에 들어서자 크고 ...
- 2019-07-02
-
- 정혜민 작가 - 꽃, 그 이상의 가치
- 정혜민
꽃, 그 이상의 가치
Flowers more, than that
2.26~3.10 산울림 아트 앤 크래프트
정혜민 작가 특유의 섬세한 꽃과 잎, 줄기는 작품의 조형성에 오밀조밀한 구성력을 보여준다. 화려한 색채를 줄이고 ...
- 2019-05-03
-
- 쉐나 프리겔
- 쉐나 프리겔Shanna R. Fliegel
쉐나 프리겔은 어렸을 때 집에서 기르던 애완 동물에 대한 기억, 동화 속의 이야기들 그리고 작업실의 라디오나 인터넷에서 흘러 나오는 이야기들을 기의 표면, 손잡이, 굽, 바...
- 2019-04-03
-
- 노경조 도예가
- 과거를 바탕으로 현대도자의 미를 탐색한 예술가이자 교육자노경조 도예가
노경조 도예가(68)의 작업실은 경기도 양평의 평장마을에 자리하고 있다. 하얀 자작나무 숲이 인상적인 그의 작업실 풍경. 실내...
- 2019-04-03
-
- 도예가 김익영
- 도예가 김익영
현대 도예의 대표적인 작가이자 교육자였던 그는 조선 백자의 유산을 계승하는 동시에 그 한계를 계속해서 확장해왔다. 여전히 왕성한 활동으로 노익장을 과시하는 그를 만나보았다.
...
- 2019-04-03
-
- 김익영: 하나된 과거와 현재
- 김익영: 하나된 과거와 현재Yikyung Kim: Past and Present as One
글_베스 맥킬롭Beth McKillop 영국 빅토리아 앤 알버트 박물관Victoria & Albert Museum 선임연구원
도예가로서 오랜 기간 동안 업계에 종속해온 김익영...
- 2019-04-03
-
- 독일에서 빛나는 도예가 부부 강기호와 신유경
- 독일에서 빛나는 도예가 부부 강기호와 신유경
글_이윤경 독일 통신원
지난 해는 필자에게 의미있는 한 해였다. 도예가로서 살아갈 수 있도록 가르침을 주신 스승 조정현 선생님의 이야기를 담은 책 ...
- 2019-03-08
-
- 도예가 이세용
- 도예가 이세용:작가의식에 관하여
2018.12.6~2019.1.5 조은숙갤러리
글_서정걸 한국도자재단 대표이사
나는 내 작업을 통하여 내가 살아온 역사를, 내가 살고 있는 현재를 그리고 내가 꿈꾸는 미래를 솔직...
- 2019-03-08
-
- 도예가 박부원의 반세기 도예역사
- 도예가 박부원의 반세기 도예역사
도예가 박부원의 팔순을 기념한 〈박부원:전통의 길을 묻다〉 전은 50년 넘게 재현도자, 전통도자 등 여러 영역을 아우르며 창의성을 보여준 박부원 장인의 상징적 도...
- 2019-02-07
-
- 지당 박부원의 도예작품
- 한국 도자사의 국보國寶 :지당 박부원의 도예작품
전광식 교수, 전 고신대학교 총장
흔히 도예작품을 품평하는 데에는 일반적으로 세 가지 기준을 대는데, 즉 모양, 색과 빛깔, 무늬가 그것이다. 하지...
- 2019-02-07
-
- 핀란드 세라미스트 나탈리에 라우텐바헤르
- 핀란드 세라미스트 나탈리에 라우텐바헤르Nathalie Lautenbacher
서명지 핀란드 통신원
도자의 매력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형태를 만드는 과정에서 수정이 용이하고 가마에서 굽고 난 다음 수...
- 2019-01-07
-
- 김명주의 예술, 다시 마음의 길로 따라나서기 〈Flowing〉
- 김명주의 예술,
다시 마음의 길로 따라나서기〈Flowing〉
10.17~11.11 갤러리밈
심상용 동덕여대 미술사학 박사
‘예술은 인간의 언어이고, 인간에 대한 언어여야 한다. 그리고 예술가는 그것만이 유일하게 ...
- 2019-01-07
-
- 이영미 도예가〈교현리橋峴里,Gyohyeon-ri〉
- 이영미 도예가
〈교현리橋峴里,Gyohyeon-ri〉
10.19~11.4 갤러리 아트링크
박진영 객원에디터 사진 명용인
전시장에 들어서자 손가락으로 V자를 그린 개구진 소년이 가장 먼저 맞이해 준다. 오른쪽으로 ...
- 2019-01-07
-
- 김선애〈블루: 컨템포러리 시누아즈리BLUE:Contemporary Chinoiserie〉
-
김선애〈블루: 컨템포러리 시누아즈리BLUE:Contemporary Chinoiserie〉10.11~11.8 KCDF 윈도우갤러리
사진_김승범
시누아즈리Chinoiserie는 프랑스어로 ‘중국풍’이라는 뜻으로, 유럽인들의 아시아에 대한 시각...
- 2018-12-05
-
- 〈보딜 만츠 Bodil Manz〉
- 〈보딜 만츠 Bodil Manz〉
9.13~10.13 갤러리LVS&CRAFT
김혜인 갤러리LVS 큐레이터
덴마크의 도예 작가 보딜 만츠Bodil Manz는 도자 예술 역사상, ‘조형언어로서의 도자’ 개념을 확립하고 도자예술에 있어 ...
- 2018-11-08
- 칼럼/학술더보기
-
-
-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9]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白磁象嵌牡丹紋瓢形甁
- 사진1)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조선시대 15세기. 높이 19cm, 입지름 2cm, 바닥굽 지름 5.8cm태조 이성계의 조선왕조가 시작되면서 사회, 정치, 문화의 각 분야에 변화의 바람이 몰아치는 도중에 생활과 밀접한 도자기 또한 고려청자의 틀에서 새롭게 두 갈래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고려시대의 맥을 그대로 이은 조선 상감청자와 중.
-
- [소소담화39] 한국 공예의 하이엔드 high-end화와 전통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많은 소상공인이 어려움을 겪고 국내 산업 생태계의 생산성이 약화하였다지만, 미술과 공예계는 호황이었다. 프리즈frize 열풍이 불었고 키아프KIAF까지 열풍에 편승하며 「코로나 속 미술시장 호황」, 「화랑가 뜨거운 세일」, 「불붙은 경매 시장」, 「아트페어 속 오픈런」, 「완판, ..
-
- [에세이 ESSAY 3] 그릇이 된 생각들_바우단지
- 1992년생 이바우(1993, 04)옹기집 막내 이바우, 이바우는 새로운 일로 옹기일을 붙들었을 때 찾아왔다. 위로 오빠가 ‘물’이고, 언니가 ‘솔’이다. 그래 태어나기도 전에 ‘바우’였다. 딸이면서 ‘바우’를 이름으로 얻었다. 당시 산아제한정책이 있었고 세 번째는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았다. 집에서 낳아야 했다. .
- 뉴스단신더보기
-
-
- 2025년 도자특화 인재 창업·창직 지원사업 접수_2025.3.18.~5.8.(기간연장)
- 한국세라믹기술원이 이천 지역 도자산업 활성화를 위해 『2025년 도자특화 인재 창업·창직 지원사업』을 공고했다. 이번 사업은 도자 분야의 창의적 인재를 발굴하고, 창업·창직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기여를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사업 신청은 4월 11일까지 이메일을 통해 접수받는다. 모집 대상은 이천 지역에서 도자 분...
-
- 2025년 ‘우수공예품지정제’ 공모 시작_접수 4. 7. ~4. 11.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하 공진원)이 ‘2025년 우수공예품지정제(K-Ribbon)’ 공모 접수를 시작한다고 26일 밝혔다. 실용성과 심미성을 두루 갖춘 공예품을 공식 지정하는 이 사업은, 한국 실용공예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장 저변을 확대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2014년 시작된 우수공예품지정제는 올해로 1...
-
- 차와 공예가 만난 자리 <2025 티앤크래프트페어> 성황리 개최
- 3월 20일부터 23일까지 서울 SETEC에서 열린 가 성황리에 마무리 됐다. 올해 첫 차 박람회로 주목받은 이번 행사는 전통 차 문화와 현대 공예가 한자리에 모인 뜻깊은 축제로, 다양한 연령층의 관람객들이 함께하며 차와 공예의 다채로운 세계를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이번 박람회는 전통차부터 현대적인 블렌딩 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의 차...
-
- 25년 만에 독일서 한국 문화의 정수 선보이다 《백 가지 행복, 한국문화특별전》 드레스덴 성에서 개막
- 국립중앙박물관과 독일 드레스덴박물관연합(SKD)이 공동 주최한 《백 가지 행복, 한국문화특별전》이 3월 15일부터 8월 10일까지 독일 드레스덴 성(레 지덴츠 궁)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1999년 에센·뮌헨 전시 이후 25년 만에 독일에서 열리는 최대 규모의 한국문화특별전이다.전시는 ‘행복’을 키워드로, 한국 문화의 정수와 ..
-
- 국립청주박물관, 특별전 《거울, 시대를 비추다》 열어
- 국립청주박물관(관장 이양수)이 2025년 상반기 특별전 《거울, 시대를 비추다》를 3월 21일부터 7월 20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거울을 매개로 고대인의 삶과 사유, 그리고 동북 아시아 문화의 교류 양상을 조명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전시는 ‘제작’, ‘상징’, ‘교류’라는 세 가지 관점 아래 세 부문으로 구성된다. 1...
- 도예마당더보기
-
-
-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9]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白磁象嵌牡丹紋瓢形甁
- 사진1)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조선시대 15세기. 높이 19cm, 입지름 2cm, 바닥굽 지름 5.8cm태조 이성계의 조선왕조가 시작되면서 사회, 정치, 문화의 각 분야에 변화의 바람이 몰아치는 도중에 생활과 밀접한 도자기 또한 고려청자의 틀에서 새롭게 두 갈래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고려시대의 맥을 그대로 이은 조선 상감청자와 중.
-
- [소소담화39] 한국 공예의 하이엔드 high-end화와 전통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많은 소상공인이 어려움을 겪고 국내 산업 생태계의 생산성이 약화하였다지만, 미술과 공예계는 호황이었다. 프리즈frize 열풍이 불었고 키아프KIAF까지 열풍에 편승하며 「코로나 속 미술시장 호황」, 「화랑가 뜨거운 세일」, 「불붙은 경매 시장」, 「아트페어 속 오픈런」, 「완판, ..
-
- 2025 중국 랴우후 장작가마 동계 캠프
- 중국 윈난성 취칭시 랴우후는 1,200년 도자공예 역사를 가지고 있는 주로 생활 도자기를 생산하여 중국의 서남부지역에 공급해 온 작은 마을이다. 중국도 자사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마을이지만 1,000여 년 동안 꾸준히 장작가마를사용하여 생활도자기를 생산해왔고 현재에도 30여 개의 장작가마에서 100여 명의 도예가들이 주로 화병이나 ..
-
- Ceramic Brussels 2025_ 흙과 불이 나누는 이야기, 현대도예
- 전시장 전경벨기에 브뤼셀에서 세계 최초로 시작된 Ceramic Art Fair가 2025년 1월 22일부터 26일까지 4일 동안, 두 번째로 개최되었다. 행사 전부터 주최 측은 상세한 설명과 함께 여러 매체를 통해 적극적으로 아트페어를 홍보하였다. 첫날의 오프닝은 전문가들과 초청객을 위한 행사였고, 두번째 날 부터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었다. 전시장은 올해...
-
- 도예의 도시 캔자스 시티 예술 교육에서 창작까지 2부
- 새로운 뿌리를 내리는 한국 도예 작가들미국에서 작업하는 한국 작가들에게 “이곳은 집이 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은 익숙한 고민일 것이다. 특히, 도예라는 매체는 물성과 시간성을 품고 있으며, 전통과 현대, 지역성과 세계성을 동시에 아우르는 특성을 가지기에, 새로운 환경에서 작업하는 것은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 흙을 빚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