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출귀물 - 태안 바다의 고려청자>
- <신출귀물 - 태안 바다의 고려청자>11.25.~2023.6.25. 태안해양유물전시관
기획전 <신출귀물新出貴物 - 태안 바다의 고려청자>가 11월 25일부터 2023년 6월 25일까지 태안해양유물전시관에서 열린다....
- 2023-02-09
-
- <공작공 KCA 그룹전>
- <공작공 KCA 그룹전>12.14.~12.18. 갤러리 수연
수원대학교 도자전공 출신 교수들의 모임 ‘공작공 KCA(회장 김명란)’의 첫 번째 그룹전이 12월 14일 부터 18일까지 갤러리 수연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 2023-02-09
-
- 장진과 그의 제자들 13인 세라믹 전시 <대화Conversation>
- 장진과 그의 제자들 13인 세라믹 전시 <대화Conversation>11.29.~12.13. 뉴스프링프로젝트
장진 도예가와 그의 제자 13인의 도예가의 단체전 <대화 Conversation>가 11월 29일부터 12월 13일까지 뉴스프링프로...
- 2023-02-09
-
- 권성은, 김송 O.A.O:Over And Over
- 권성은, 김송 O.A.O:Over And Over12.9.~1.7. 갤러리까비넷
권성은, 김송 도예가의 2인전 가 12월 9일부터 2023년 1월 7일까지 갤러리까비넷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자기수행을 토대로 한 ‘반복의 과정’을 담은 ...
- 2023-02-09
-
- 권성은, 김송
- 권성은, 김송 <O.A.O: Over And Over>12.9.~1.7. 갤러리까비넷
권성은, 김송 도예가의 2인전 가 12월 9일부터 2023년 1월 7일까지 갤러리까비넷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자기수행을 토대로 한 ‘반복의 과정’을 ...
- 2023-02-09
-
- 흙의 이야기 속으로
-
흙의 이야기 속으로
글. 안준형 여주시청 주무관, 문화행정가
홍연자 <흙의 이야기 속으로> 2022.9.23.~10.9. 여주도자문화센터
작가가 온 힘을 기울여 어렵사리 빚어낸 작품은 또 다른 나 혹은...
- 2023-01-06
-
- 백색변주
- 백색변주
글·사진. 이종주 도예가
<양구백자의 재해석-백색변주> 9.20.~9.27. 양구역사체험관 전시실
「백색변주」 최대높이 52cm | 물레성형, cone10 | 2022
백자는 하얀색의 경질자기다. 사전적으로 백...
- 2023-01-06
-
- 흙의 시나위 제32회 정기전 <손님>
- 흙의 시나위 제32회 정기전 <손님>8.28.~9.30. 쿤스트하우스마니
흙의 시나위의 32번째 정기전 <손님Visitor>가 8월 28일부터 9월 30일 까지 쿤스트하우스마니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는 흙을 만지는 작가...
- 2023-01-06
-
- 한국도자학회 제23회 정기전 <리+와인드>
- 한국도자학회 제23회 정기전 <리+와인드>10.5.~10.10. 마루아트센
한국도자학회의 23번째 정기전 <리+와인드RE+WIND>가 10월 5일부터 10일까지 6일간 마루아트센터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는 ‘일상으로 ...
- 2023-01-06
-
- 조병호 네 번째 개인전 <설 백자 달항아리>
- 조병호 네 번째 개인전 <설 백자 달항아리>9.28.~10.3. 갤러리 인사아트
조병호 도예가의 네 번째 개인전 <설雪백자 달항아리>가 9월 28일부터 10월 3일까지 6일간 갤러리 인사아트에서 열렸다. 이번 ...
- 2023-01-06
-
- 전통도예협회 제12회 정기전 <다양함의 즐거움>
- 전통도예협회 제12회 정기전 <다양함의 즐거움>10.14.~10.30. 여주도자문화센터
전통의 계승과 발전을 도모하고자 설립된 사단법인 전통도예협회의 열두번째 정기전이 열렸다. 강준영, 김성문, 김종호, ...
- 2023-01-06
-
- 안혜영 세 번째 개인전 <소소한 위로의 숲>
- 안혜영 세 번째 개인전 <소소한 위로의 숲>10.5.~10.23. 삼세영갤러리
안혜영 도예가의 세 번째 개인전 <소소한 위로의 숲>이 10월 5일부터 23일까지 삼세영갤러리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는 ‘해학의 ...
- 2023-01-06
-
- 김미경 열 번째 개인전 <옥천유희Ⅱ: 옥천에서 행복하기를 바래>
- 김미경 열 번째 개인전 <옥천유희Ⅱ: 옥천에서 행복하기를 바래>11.17.~11.27. 옥천군 전통문화체험관
김미경 도예가의 열 번째 개인전 <옥천유희Ⅱ: 옥천에서 행복하기를 바래> 가 11월 17일부터 27일...
- 2023-01-06
-
- 박미화 21번째 개인전 <더 적게>
- 박미화 21번째 개인전 <더 적게>10.26.~12.3. 아트스페이스3
박미화 도예가의 21번째 개인전 <더 적게Lesser>가 10월 26일 부터 12월 3일까지 아트스페이스3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인 간과 자연의 관...
- 2023-01-06
-
- 김대웅 초대전 <불편의도>
- 김대웅 초대전 <불편의도>10.21.~11.18. 공부차 청담 갤러리
김대웅 도예가의 개인전 <불편의도 BE in’formel> 가 10월 21일부터 11월 18일까지 약 한 달간 공부 차 청담 갤러리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
- 2023-01-06
-
- 여주도자문화센터 기획초청전 <여주디미방 9, 10>
- 여주도자문화센터 기획초청전 <여주디미방 9, 10> 김민정, 김은호 개인전 10.21.~2023.2.26. 여주도자문화센터
여주시가 천년의 역사를 간직한 여주 도자기의 활성화와 저변 확대를 위해 추진 중인 릴레이 ...
- 2023-01-06
-
- [전시리뷰] 김미영 개인전 <아마 늦은 여름이였을 거야>
-
[전시리뷰 | EXBIHITION REVIEWS]
식생植生에 빗댄 우리의 화양연화
글. 홍지수 미술평론, 미술학박사
김미영 다섯 번째 개인전 2022.9.2.~9.16. 아정미술관T.02.950.7331 H.www.induk.ac.kr
작가 김미영은 식...
- 2022-12-01
-
- [전시리뷰] 허민자 도예전 <제주작가마씀: 흙, 제주 삶의 지평>
- [전시리뷰 | EXBIHITION REVIEWS] 흙, 제주 삶 의 지 평글. 김진아 제주공예박물관 학예사수직선문청화유, 철유 백자_1981허민자 도예전 2022.9.6.~10.23.제주도립미술관 2층 전시실T.064.710.4300@jeju_museum_of_art처서處暑...
- 2022-12-01
- 특집더보기
-
-
- [특집I] 흙과 시간, 손이 빚어낸 흔적_김덕호 작가 인터뷰
- 흙을 쌓아 층층이 패턴을 빚는 연리문連理紋. 김덕호 작가는 이 기법으로 흙의 물성과 자연의 흔적을 도자에 담는다. 물레 위에서 색 점토가 겹겹이 쌓이고, 손끝으로 깎이며 완성되는 그의 작업은 전통과 현대가 얽힌 시간을 드러낸다. 연리문은 단순 장식이 아니라, 흙과 장인의 대화 속에서 피어나는 생생한 기록이다.청화백자에서 피어..
-
- [특집II] 백연리에 담긴 기억의 층_김인식 작가 인터뷰
- 「器憶 2411-5」 ⵁ28×h36.5cm | 1250℃, RF, 무유, 연마◎ 연리 작업을 통해 기억을 형상화하고 계시는데, 흙을 쌓고 깎아내는 과정이 작가님이 떠올리는 기억의 형성과 소멸 과정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사람의 기억은 삶이라는 과정 안에서 점점 잊히기도 하지만, 특정 장소나 음악, 어떠한 향기나 인물 등을 접하게 되며 망각하고...
-
- [특집III] 연리문에 깃든 시간의 흐름_조신현 작가 인터뷰
- 조신현 작가는 연리문 기법을 현대 도예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요소라 말한다. “전통 공예는 실용성을 기반으로 했지만, 현대 도예는 개념적 예술로 확장되고 있어요. 연리문은 이 둘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죠.” 그는 연리문의 본질을 ‘시간을 담아내는 기법’으로 정의하며, 이를 통해 감각적이고 개념적인 ...
- 도예마당더보기
-
-
-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9]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白磁象嵌牡丹紋瓢形甁
- 사진1)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조선시대 15세기. 높이 19cm, 입지름 2cm, 바닥굽 지름 5.8cm태조 이성계의 조선왕조가 시작되면서 사회, 정치, 문화의 각 분야에 변화의 바람이 몰아치는 도중에 생활과 밀접한 도자기 또한 고려청자의 틀에서 새롭게 두 갈래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고려시대의 맥을 그대로 이은 조선 상감청자와 중.
-
- [소소담화39] 한국 공예의 하이엔드 high-end화와 전통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많은 소상공인이 어려움을 겪고 국내 산업 생태계의 생산성이 약화하였다지만, 미술과 공예계는 호황이었다. 프리즈frize 열풍이 불었고 키아프KIAF까지 열풍에 편승하며 「코로나 속 미술시장 호황」, 「화랑가 뜨거운 세일」, 「불붙은 경매 시장」, 「아트페어 속 오픈런」, 「완판, ..
-
- 2025 중국 랴우후 장작가마 동계 캠프
- 중국 윈난성 취칭시 랴우후는 1,200년 도자공예 역사를 가지고 있는 주로 생활 도자기를 생산하여 중국의 서남부지역에 공급해 온 작은 마을이다. 중국도 자사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마을이지만 1,000여 년 동안 꾸준히 장작가마를사용하여 생활도자기를 생산해왔고 현재에도 30여 개의 장작가마에서 100여 명의 도예가들이 주로 화병이나 ..
-
- Ceramic Brussels 2025_ 흙과 불이 나누는 이야기, 현대도예
- 전시장 전경벨기에 브뤼셀에서 세계 최초로 시작된 Ceramic Art Fair가 2025년 1월 22일부터 26일까지 4일 동안, 두 번째로 개최되었다. 행사 전부터 주최 측은 상세한 설명과 함께 여러 매체를 통해 적극적으로 아트페어를 홍보하였다. 첫날의 오프닝은 전문가들과 초청객을 위한 행사였고, 두번째 날 부터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었다. 전시장은 올해...
-
- 도예의 도시 캔자스 시티 예술 교육에서 창작까지 2부
- 새로운 뿌리를 내리는 한국 도예 작가들미국에서 작업하는 한국 작가들에게 “이곳은 집이 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은 익숙한 고민일 것이다. 특히, 도예라는 매체는 물성과 시간성을 품고 있으며, 전통과 현대, 지역성과 세계성을 동시에 아우르는 특성을 가지기에, 새로운 환경에서 작업하는 것은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 흙을 빚고...
- 작가더보기
-
-
- 꼼꼼하게 찍은 인화문에 그의 인생이 담긴다_김진규
- 투박하지만 자유롭고, 청자나 백자에 비해 다양한 표현 기법으로 한국적 미를 보여주는 분청은 세계 유일 한국에만 있는 도자기다. 철화, 조화, 박지, 상감, 인화 등 무늬를 넣는 방법에 따라 독특하고 다양한 미감을 보여준다. 그 중 인화문 작업에 매료되어 25년간 인화분청을 만들어 온 김진규 작가는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작품을 통해 .
-
- 도예가 한종규 흙으로 구현한 순수 추상
- 「variation」 39.5×39.5×6cm | 슬립캐스팅, 슬립소지, 안료, 백매트유, 수금 | 2022최근 동시대 도예의 흐름을 살펴보면, 현대 도예가 현대미술에서 다루는 다양한 표현기법이나 작업의 주제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특히 작가들의 작업 주제에 있어 다변화가 이루어진 점이 주목된다. 형태와 색상 등 기본적인 도자...
- 뉴스단신더보기
-
-
- 2025년 도자특화 인재 창업·창직 지원사업 접수_2025.3.18.~5.8.(기간연장)
- 한국세라믹기술원이 이천 지역 도자산업 활성화를 위해 『2025년 도자특화 인재 창업·창직 지원사업』을 공고했다. 이번 사업은 도자 분야의 창의적 인재를 발굴하고, 창업·창직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기여를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사업 신청은 4월 11일까지 이메일을 통해 접수받는다. 모집 대상은 이천 지역에서 도자 분...
-
- 2025년 ‘우수공예품지정제’ 공모 시작_접수 4. 7. ~4. 11.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하 공진원)이 ‘2025년 우수공예품지정제(K-Ribbon)’ 공모 접수를 시작한다고 26일 밝혔다. 실용성과 심미성을 두루 갖춘 공예품을 공식 지정하는 이 사업은, 한국 실용공예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장 저변을 확대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2014년 시작된 우수공예품지정제는 올해로 1...
-
- 차와 공예가 만난 자리 <2025 티앤크래프트페어> 성황리 개최
- 3월 20일부터 23일까지 서울 SETEC에서 열린 가 성황리에 마무리 됐다. 올해 첫 차 박람회로 주목받은 이번 행사는 전통 차 문화와 현대 공예가 한자리에 모인 뜻깊은 축제로, 다양한 연령층의 관람객들이 함께하며 차와 공예의 다채로운 세계를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이번 박람회는 전통차부터 현대적인 블렌딩 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의 차...
-
- 25년 만에 독일서 한국 문화의 정수 선보이다 《백 가지 행복, 한국문화특별전》 드레스덴 성에서 개막
- 국립중앙박물관과 독일 드레스덴박물관연합(SKD)이 공동 주최한 《백 가지 행복, 한국문화특별전》이 3월 15일부터 8월 10일까지 독일 드레스덴 성(레 지덴츠 궁)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1999년 에센·뮌헨 전시 이후 25년 만에 독일에서 열리는 최대 규모의 한국문화특별전이다.전시는 ‘행복’을 키워드로, 한국 문화의 정수와 ..
-
- 국립청주박물관, 특별전 《거울, 시대를 비추다》 열어
- 국립청주박물관(관장 이양수)이 2025년 상반기 특별전 《거울, 시대를 비추다》를 3월 21일부터 7월 20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거울을 매개로 고대인의 삶과 사유, 그리고 동북 아시아 문화의 교류 양상을 조명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전시는 ‘제작’, ‘상징’, ‘교류’라는 세 가지 관점 아래 세 부문으로 구성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