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파크 조성을 위한 한국도자재단 중국 방문기(2)
| 이홍원 도자진흥재단 종합기획실 테마파크팀장
지난 호의 한국도자재단 1차 중국 문화교류 대표단 방문기에 이어서 이번 호에서는 2차 방문단 답사기를 풀어보고자 한다. 필자는 지난 12월 27일 오후 1차 방문단을 보내고 28일 2차 방문단을 북경 공항에서 맞았다. 2차방문단은 외부 초빙 인사(우관호 홍익대학교 유리도예학과 교수), 비엔날레팀장 강정원, 여주 테마파크 TF팀의 박성천, 이수진, 뉴딜팀의 김광래, 공공사업팀의 황형석, 기획총무팀의 김현희 그리고 인솔자로 테마파크팀장 이홍원 등 총 8명으로 구성됐다.
1차 방문단이 중국문화교류의 교두보와 거점확보에 목적을 두었다면 2차 방문단은 향후 토야지움과 테마파크 조성, 뉴딜사업 진행을 위한 벤치마킹과 워크샵을 위한 방문이었다. 따라서 출장 형태가 1차와는 사뭇 다른 일정들로 이뤄졌다.
공항에서 처음 향한 곳은 극장식 식당이었다. 식사 중에도 일을 생각하게 하는 집요함! 추후 재단내 테마파크 안에 관람자들을 위한 레스토랑이나 카페들을 만들게 되면 어떤 식으로 가져가야 할지, 공연의 형식과 시설은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구성해야 하는지, 그 안에서 우리 도자기를 어떻게 어필하고 어떤 영역을 접목하거나 활용해야 할지를 고민해야 했다. 예전에 보았던 중국의 관광지는 단순한 관광과 휴식을 위한 목적이었지만, 이번 방문에서는 새로운 과목의 참고서 첫 장을 넘기는 것처럼 새로운 느낌이었다.
첫째 날, 극장식 식당에서의 점심식사 그리고 천단공원
우리나라에도 극장식 레스토랑은 많다. 그렇다고 그리 고급스럽지도 않은 이곳에서 식사를 하는 이유는 식당은 밥만 먹는 곳이 아니라는 것을 상기하기 위해서였다. 가장 기본적이고 원초적인 스킨쉽을 나누는 곳 그리고 만남과 대화를 나누면서 식사를 하는 곳이 바로‘식당食堂’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한 곳이고 문화 컨텐츠를 어떻게 선택하느냐는 것은 식당의 그레이드를 결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테마파크의 전체 수준을 가늠케 하는 중요한 요소일 수가 있다. 우리가 찾은 식당은 평범해 보이는 내부 인테리어였지만 ‘공연’을 보여주는 이유 하나만으로 그 식당의 ‘색’을 만들어가고 있었다. 그러면 우리는 어떤 색을 만들어야 할까? 아~ 우선 밥부터 먹고!
점심식사를 마치고 충웬구에 있는‘천단공원’으로 향했다. 역시 그 엄청난 규모는 압권이었다. 그리고 그네들의 상술은 가히 머리를 절레절레 흔들게 했다. 매표를 세 번에 나눠서 끊게 만든 것이다. 어차피 세 군데서 매표를 할 수밖에 없지만 한 번에 매표하면 가격이 만만치 않다는 것을 알기에... 귀엽기도 하고 얄밉기도 했다.
엄청난 규모의 돌판 조각은 곳곳에서 볼 수 있었고 그 정교함 또한 보는 사람들의 눈길을 한참이나 붙잡아 두었다. 나무들의 나이를 이름표의 색으로 표시하는 센스와 디테일은 눈여겨 볼만 했다. 도자로 만든 봉화대는 그들이 얼마나 도자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었는지를 가늠케 했다. 나이 들어서 중국을 여행하는 일은 참 힘들 것 같다. 정말 다리가 아프다...
하나라도 더 봐야겠다는 욕심으로 ‘공연’을 관람하러 ‘브릿징사’의 직원들을 따라 나섰다. 우리가 도착한 공연장에서는 평일임에도 불구하고 관람객이 꽤 많았다. 공연장의 곳곳에는 도자벽화가 장식돼 있었다. 공연은 가히 신기에 가까웠다, 하지만 그 보다도 조명과 무대미술, 레이져 기술과 무대장치 기술 그리고 스케일에서 그들의 저력을 톡톡히 보여주고 있었다. 단순히 ‘서커스 수준이겠지...’라는 생각을 무색하게 만들었다. 그 쯤 되면 종합예술이라 할만 했다. 마음이 무거웠다. ‘중국이 이정도 인데, 우리는 어떤 공연 컨텐츠로 승부를 걸어야 하나?’ 알다시피 앞으로는 공연문화가 집객의 중요한 컨텐츠이다. 그곳에 무엇이 있는가도 중요하지만, 어떤 볼거리가 있는지는 더 중요하다. 따라서 테마파크 내의 공연 프로그램은 집객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또 하나의 숙제를 갖고 호텔로 향했다.
<일부 내용이 생략됩니다. 월간도예 2010년 3월호를 참조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