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재국 <진화하는 고전>
- 박재국 박재국 작가는 2003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세종갤러리, 경기생활도자미술관, 한가람미술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등에서 23회의 개인전을 개최...
- 2024-03-28
-
- 박수정, 일상의 장소
- 박수정, 일상의 장소 장소는 어떠한 공간의 위치뿐만 아니라 개인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구체적이고도 독특한 일정 구역이다. 그 구역에서 개인의 인식, 심리...
- 2024-03-28
-
- 정나영 , 몸의 지정학적 언어
- 정나영 , 몸의 지정학적 언어 정나영은 몸과 흙의 관계성을 통해 ‘참된 나The EGO and the Authentic Self’의 발견을 시도한다. 흙을 주재료로 사용한 지 20여 ...
- 2024-03-28
-
- 지현이, 보이는 것의 보이지 않는 것
-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의 모습은 전 세계 그리고 각 지역에서 모인 사람들이 뿜어내는 사회·문화적인 다양성과 함께 조화롭게 공존하는 듯 보이지만 그 이...
- 2024-01-31
-
- 몸이 밀고 나가며 쓰는 글, 김지혜의 점토로 글쓰기
- 거의 모든 활동이 컴퓨터로 이루어지면서 몸으로 물질을 대하는 감각이 잊혀 간다. 회화도, 조각도 키보드와 마우스로 모니터 속 이미지를 조작해 출력하는 ...
- 2024-01-31
-
- 흙과 물로 그린 정경, 사이토 유나
- 사이토 유나는 시유되지 않은 도자기와 액체 염료를 사용해 흙-물의 이동 과정을 기록한다. 도자기에 액체로 된 염화코발트 또는 섬유염료를 가득 담으면, 안...
- 2024-01-30
-
- 프랑스에서 맺은 인연으로 이천에 오다
- 한국의 전통 도자기를 배우러 5년을 기다려 이천에 온 프랑스 도예가 다리우스 르노다리우스 르노Darius Renault는 프랑스 리모주에서 활동 중인 도자 예술가다. ...
- 2023-12-27
-
- 박병호 명장
- 인간은 누구나 주어진 환경 속에서 일상의 경험을 쌓으며 살아간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나름의 가치관을 구축하게 되며, 그에 부합하는 삶을 살...
- 2023-12-27
-
- [이달의 작가] 윤솔
-
우리의 눈은 잘 속는다. 자신이 보고 있는 형태가 그저 물질 혹은 거죽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쉽게 용인하지 못한다. 우리는 항상 형태 그 자체보다 다른 의미를 찾으려 한다. 자신이 보고 유추한 것을 ...
- 2023-12-27
-
- [젊은 작가] 임영빈
- 임영빈 작가는 대학교 재학 시절, 천목유를 시유한 사발을 가마에서 꺼내며 목격했던 오채찬란한 빛깔과 도예의 의외성에 매료됐다. 당시의 기억이 도자예술을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대학...
- 2023-12-27
-
- [이달의 작가] 김영미
- 소통과 연결의 앤솔러지
모든 존재는 관계 속에서 완성된다. 풀 한 포기, 새소리 몇 움큼, 한 줌 달빛조차 이 땅에, 아니 이 우주에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없다. 그러나 오늘날 얼마나 많은 우...
- 2023-11-30
-
- [젊은 작가] 김호정
- 무한히 확장하는 도자우주
도예가 김호정의 작업은 도자의 기원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에서 비롯되었다. 작가의 관심은 고대의 유물을 그대로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대의 언어로, 자신만의 스타...
- 2023-11-30
-
- 길상과 복락을 염원하는 색色의 축적, 민지원
-
길상과 복락을 염원하는 색色의 축적
글_장민상 기자
민지원 도예가의 첫 번째 개인전 가 지난 10월 17일부터 24일까지 영종도 자연당 갤러리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는 행운의 상징물인 복주머니의 ...
- 2023-11-30
-
- [이달의 작가] 여병욱
- 여병욱, 정에서 동으로 나아가는 공간 품은 형태
여병욱 개인전 <Form>
8.26.~9.16. 갤러리 완물
도예가들은 작업실 그리고 전시장-어느 장소, 어느 순간 자신이 만든 것이 기능하는 용기가 아닌...
- 2023-11-02
-
- [젊은 작가] 이예림
- 차이를 잇다, 이예림
이예림 작가의 작품들은 추상적인 형태와 회화적인 유약표현으로 만들어지는 표현의 자유로움과 유연함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는 표현에 대한 명분과 시각적 완성도를 중요...
- 2023-11-02
-
- 조영일 <흙의 변주곡>
- 조영일 9.1.~10.29. 성남큐브미술관 반달갤러리 성남중진작가전2 《흙의 변주곡 : Variation of Soil》은 도자와 조각의 속성, 회화적인 요소들이 혼재되어 서로 조화롭게 경계를 넘나드는 듯한 독창적인 작업을 ...
- 2023-11-02
-
- 김혜정 <문제의 소멸에 대하여>
- 김혜정 <문제의 소멸에 대하여>
9.6.~9.11. KCDF 갤러리
김혜정 작가는 동시대 출중한 도예가 중 한 명이다. 그의 작품은 분명 수천 년 동안 번창한 한국의 도예 전통에서 비롯된 것일 테다. 그렇지...
- 2023-11-02
-
- [이달의 작가] 유태근
- <이달의 작가 _ 유태근, 검이불루 화이불치>
‘흙이 춤춘다. 천천히, 빨리 걸으며 춤춘다.’ 청마 유태근 작가의 작업을 마주하고 명쾌하게 좁힐 수 없었던 그무엇이 번뜩, 이렇게 정리되었다. 작...
- 2023-09-27
- 뉴스단신더보기
-
-
- <2025 중국 야후 여름 장작가마 캠프> 참가자 모집_ ~2025.7.15. 선착순 15명
- 2026년 1월 와 7월 가 국내외 도예가 약 40여 명 과 학생 500여 명이 참여하는 정부 공식 행사로 개최 예정이다. 2026년의 본 행사 개최에 앞서 ‘중국 윈난성 취칭시 야후 중국장 작가마연구소 (소장 정동훈)’ 주관으로 가 7월 28일부터 8월 18일(20박 21일)까지의 일정으로 참가자를 모집한다. 행사 장소는 ‘중국 윈난성 취칭시 야후 국제.
-
- 어린이의 상상력이 꽃피는 5월의 박물관
-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 대상 문화행사 개최체험형 전시와 야외 공연으로 구성, 5월 한 달간 전면 운영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어린이 관람객을 위한 문화행사 을 5월 1일부터 31일 까지 한 달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어린이들이 박물관을 자유롭게 체험하고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으로,...
-
- 전국으로 확장된 ‘공생공락’의 의미, 함께하는 공예 축제 <2025 공예주간> 개최_2025.5.16.~5.25.
- 5월 16일부터 25일까지 열흘간 진행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가 주최하고 한국공예·디자인문화 진흥원(원장 장동광, 이하 공진원)이 주관하는 이 5월 16일(금)부터 25일(일)까지 10일간 전국 각지에서 열린다.올해로 8회를 맞이하는 공예주간은 ‘공생공락共生工樂(Living Together, Craft Together)’을 슬로건으로, 일상 속에서 공예가 함...
-
- 애틀랜타에서 만난 오늘의 전통
- , 글로벌 시장 진출의 가능성을 열다전통의 가치를 품은 청년 브랜드들이 미국 현지 시장과 직접 마주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주관한 해외 유통 프로모션 행사가 지난 4월 17일부터 20일까지 애틀랜타 개스사우스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제23차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와 연계...
-
- 여주 세라믹 스튜디오에서 펼쳐지는 <2025 이도도자기 축제>
- 제품 할인, 체험 프로그램, 한정 디저트 이벤트 등 다양한 현장 구성도자 브랜드 이도도자기가 주관하는 가 지난 4월 25일(금)부터 5월 11일 (일)까지 여주 세라믹 스튜디오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브랜드 철학을 공유하고, 도자를 다양한 방식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축제 기간 동안 이도의 대표 제품을 포함한 총 505종의 도자 제품..
- 도예마당더보기
-
-
-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50] 고구려 불꽃모양 장식 금관 高句麗火焰形裝飾金冠
- 사진1) 「고구려 불꽃모양 장식 금관 高句麗火焰形裝飾金冠」 고구려 높이 15.8cm, 지름 19.5cm한민족은 고조선의 강력한 제국을 형성한 시기에 태양을 숭배하고 제천의식을 통해서 천제를 지내며 오천 년 역사를 이어 온 동북아시아의 핵심 민족이다. 한민족이 태양을 숭배한 증거는 「거친무늬 청동거울」, 「비파 모양 동검」 등 여러 종류..
-
- [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 19]
- 본 지면은 경기도자미술관의 소장품을 소개하는 꼭지입니다. 사진 한 점을 통해 기법이나 표현방식, 주목받은 이유 등 다각적으로 살펴보며 과거의 물상과 이야기를 탐험하고자 합니다.글·사진. 경기도자미술관 제공고희숙 KO Heesook「White line 2019」 Ø29×h13cm | 한국 | 2019고희숙은 슬립캐스팅Slip casting기법으로 백자를 제작한다. ...
-
- 김예빈 갤러리 모순 대표 인터뷰
- 모순의 미학, 조화를 큐레이팅하다서울 정동길,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된 2층 건물에 자리 잡은 ‘갤러리 모순’은 이름 그대로 이질적인 요소들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이다.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공예와 미술, 기능성과 조형성 사이의 긴장과 융합이 이곳의 정체성이다. 이 공간의 디렉터 김예빈은 갤러리 운영의 전통적인 문법.
-
- [소소담화40] 무너지고, 부서지고, 터지고, 갈라진 흙
- 요즘 유행어로 ‘힙Hip 하다’라고 하면, ‘새로운 것을 지향하고 개성이 강한 것’을 의미한다. 이 ‘힙’을 가장 반기고 열망하는 이를 꼽는다면, 예술가들이 아닐까? 어느 시대나 가장 트렌디하고 독창적이며 개성이 넘치는 스타일이나 태도를 추구하는 자들의 선두에는 늘 예술가들이 있었다. 그렇다면 현대 도예의 &lsq...
-
- [에세이 ESSAY 4] 그릇이 된 생각들_1인人 밥솥「사름」
- ‘사름’은 도작稻作문화에서 이양으로 모를 옮겨 땅 냄새를 맡다가 심은 지 4~5일쯤 지나 완전히 뿌리를 내려 파랗게 생기를 띠는 일, 또는 그런 상태를 말한다. 제주도 방언으로는 사람을 ‘사름’이라 한다. 농사꾼 못된 옹기장이로 이 사람에게는 옹기몸흙의 생감을 사름에서 느끼게 되며, 또 가을 추수가 끝나고서도 그 밑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