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동식의 달항아리_2025.1.17.~2.15.
- 1. 17. ~2. 15. 운중화랑 전시 전경달항아리, 피안의 세계를 담다18세기 잠시 나타났다 사라졌다고 여겼던 백자대호가 300년이 지나 다시 주목 받는다. 달항아리가...
- 2025-04-02
-
- 2024 고흥분청문화박물관 입주작가 성과 기획전 《분청변주》_2025.1.27.~3.30.
- 1. 27. ~3. 30. 고흥분청문화박물관 기획전시실젊은 도예가들의 3색 분청 변주곡2024년 고흥분청문화박물관 레지던시 프로그램에는 윤준호, 전희은, 이정빈 3명의 ...
- 2025-04-02
-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_2024.11.26.~3.3.
- 2024. 11. 26. ~3. 3.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2상형청자의 다채로운 세계를 조명하다지난 2024년 11월 26일부터 2025년 3월 3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한 특...
- 2025-04-02
-
- 《한국현대도자공예:영원의 지금에서 늘 새로운》_2024.11.21.~5.6.
- 2024. 11. 21. ~5. 6.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박정훈30년 만에 다시 보는 한국현대도예현대도예의 태동과 오늘인간과 예술에 관한 논의를 ...
- 2025-04-02
-
- 대한민국분청도자대전 15년의 발자취_2025.1.24.~3.30.
- 전시전경김해분청도자박물관은 1월 24일부터 3월 30일까지 기획전 시실에서 을 주제로 한 특별 전시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는 우리나라 최초의 분청도자 전국 ...
- 2025-04-02
-
- 《공예행 工藝行: 골골샅샅, 면면촌촌》_2025.1.15.~2.11.
- 1. 15. ~2. 11. 문화역서울284100년의 시간을 잇는 공예의 여정“열차가 떠나겠습니다.”문화역서울284에서 특별한 여정이 시작됐다. 한 세기 동안 수많은 사...
- 2025-03-05
-
- 경기도자박물관 무장애 기획전 《도자기와 닿다, 도자기 와닿다》_2024.11.26.~3.30.
- 2024. 11. 26. ~3. 30. 경기도자박물관 기획전시실오감으로 만나는 우리 도자기경기도자박물관은 오는 3월 30일까지 무장애Barrier-Free 기획전 《도자기와 닿다, 도자...
- 2025-03-04
-
- 이용순 개인전_2025.1.8.~1.23.
- 1. 8. ~1. 23. 토포하우스 제2전시실 달항아리 탐닉記후지시로 세이지 북촌스페이스 입구에는 이용순 작가의 보름달 같은 백자 달항아리가 떡하니 관람객을 먼...
- 2025-03-04
-
- 오종보 네 번째 개인전 《New Start》_2024.12.23.~1.1.
- 2024. 12. 23. ~1. 1. LYNN Fine Art Gallery(작품전) 일상민예점 도이(상품전) 흙으로 빚은 시간, 한국의 미를 담다나는 백자의 단순한 조형미와 여백을 통해 삶의 흔적을 ...
- 2025-03-04
-
- 김수연, 천욱환 2인 전 《여백 사물》_2025.1.14.~1.25.
- 1. 14. ~1. 25. 다음사물을 제대로 바라보기 위한 여백같은 학교에서 도예를 공부하고, 같은 스승 밑에서 도자기를 대하는 삶을 배우고, 학업을 마치고 내려간 강...
- 2025-03-04
-
- 김남숙 《바다를 품은 돌》_2025.1.8.~1.20.
- 1. 8. ~1. 20. 제주갤러리_인사아트센터인간의 내면과 사회적 관계를 포용하는 제주의 돌돌과 사람의 관계는 아주 오래전, 선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
- 2025-02-07
-
- 조은미 《間 사이 잇다 Interactive Space》_2024.11.29.~12.29.
- 11. 29. ~12. 29. 양구백자박물관 기획전시실「Flow_양구흔적」 혼합재료 | 2024間_ 사이 ; ‘잇다’ - ‘있다’‘흙’과 ‘불’의 두 축을 낯...
- 2025-02-07
-
- 이아련 《경이로운 세계 HOPPY MARVELS》_2025.1.16.~2.6.
- 1. 16. ~2. 6. USM NY Showroom경이로운 세계이아련 개인전 “Hoppy Marvels : 경이로운 세계”는 독특한 색상과 질감이 만들어내는 형상과 감각의 경계를 탐구하는 ...
- 2025-02-07
-
- 조희연 《하늘, 빛, 그림자》_2024.11.23.~12.15.
- 11. 23. ~12. 15. 한향림도자미술관 갤러리H변화하는 구름, 빛의 시간우리가 어디에 있든 하늘은 항상 그곳에 있다. 그러나 도시의 높은 건물과 바쁜 일상 속에서 ...
- 2025-02-07
-
- 《사기장 沙器匠, 흙을 빚어 삶을 이롭게》 국립진주박물관
- ‘ 도자기 너머 사람을 보다 ’국립진주박물관 개관 40주년 기념 특별전 《사기장 沙器匠, 흙을 빚어 삶을 이롭게》2024. 10. 1. ~2. 23. 국립진주박물관 기획...
- 2025-02-07
-
- 2024성남작가조명전4 《고혜숙: 공간을 유영 遊泳하는 대화》_2024.8.30.~10.20.
- 8. 30. ~10. 20. 성남큐브미술관 반달갤러리사-잇길에서 나를 찾다.고혜숙의 작품 제목인 「사-잇길 Inbetween」은 그의 작업의 정체성과 지향점을 잘 압축하고 있다...
- 2025-01-06
-
- 대부도 유리섬박물관 기획전 2024 《현대미술–오브제》_2024.10.8.~25.2.2.
- 10. 8. ~25. 2. 2. 유리섬박물관물질에서 유출한 동시대 미술의 사물성과 시각언어의 다채로움예술가의 정신이 형태가 되려면 물질la mariere이 필요하다. 예술가의 ...
- 2025-01-02
-
- 2024 충북의 공예가 기획전 《네 가지, 그러한 것》_2024.11.5.~2025.1.14.
- 11. 5. ~2025. 1. 14. 문화제조창 본관 3층 청주시한국공예관 갤러리 3자연스레 그리된 관계에 관하여청주시한국공예관의 2024 충북공예가 기획전 《네 가지, 그러한...
- 2025-01-02
-
- 김명주 《Au bord de l’infini (무한의 가장자리에서)》_2024.10.26.~11.30.
- 10. 26. ~11. 30. P21(피투원)생의 한가운데나는 작가라는 존재들에게 신비에 가까운 경의와 무한한 감사를 가지고 있는 사람 중의 한 명이다. 가장자리에서 서성이...
- 2025-01-02
-
- 김영옥 《오늘과 내일 Moment in Time》_2024.11.15.~12. 6.
- 11. 15. ~12. 6. 호호재 서울오늘과 내일죽음에 대한 사유는 끊이지 않는다. 삶의 통과 의례이며 모든 시대와 문화에서 인간의 가장 중요한 탐구 주제 중 하나였다...
- 2025-01-02
- 전시더보기
-
-
- 이동식의 달항아리_2025.1.17.~2.15.
- 1. 17. ~2. 15. 운중화랑 전시 전경달항아리, 피안의 세계를 담다18세기 잠시 나타났다 사라졌다고 여겼던 백자대호가 300년이 지나 다시 주목 받는다. 달항아리가 가지는 동 시대성을 의미하는 것일까? 점차 개별화되고 간결한 미를 추구하는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이만큼 부합하는 것도 없다. 무채색 흰 빛깔과 살짝 일그러지며 흐르는...
-
- 2024 고흥분청문화박물관 입주작가 성과 기획전 《분청변주》_2025.1.27.~3.30.
- 1. 27. ~3. 30. 고흥분청문화박물관 기획전시실젊은 도예가들의 3색 분청 변주곡2024년 고흥분청문화박물관 레지던시 프로그램에는 윤준호, 전희은, 이정빈 3명의 젊은 작가들이 입주해 작업했다. 윤준호 작가는 올해 레지던시 입주 5년 차로 4년간 레지던시에서 계획하고 실험, 모색해 온 것들을 정리, 완성하는 동시에 올해는 특별히 귀얄과 분.
-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_2024.11.26.~3.3.
- 2024. 11. 26. ~3. 3.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2상형청자의 다채로운 세계를 조명하다지난 2024년 11월 26일부터 2025년 3월 3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한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는 고려 시대 상형청자象形靑磁를 단독 주제로 집중 조명하는 전시였다. 상형청자象形靑磁란 인물, 동물, 식물 등의 형상을 본떠 만든 청자...
-
- 《한국현대도자공예:영원의 지금에서 늘 새로운》_2024.11.21.~5.6.
- 2024. 11. 21. ~5. 6.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박정훈30년 만에 다시 보는 한국현대도예현대도예의 태동과 오늘인간과 예술에 관한 논의를 할 때면 흔히 최초의 미술품인 선사시대의 동굴벽화를 화두로 삼는다. 당시의 문화나 신앙 등 사회 상황을 잘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라면 토기나 장신구 등과 같은 초...
-
- 대한민국분청도자대전 15년의 발자취
- 전시전경김해분청도자박물관은 1월 24일부터 3월 30일까지 기획전 시실에서 을 주제로 한 특별 전시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는 우리나라 최초의 분청도자 전국 공모전인 이 걸어온 15년간의 발자취를 조명하고, 현대 분청도자의 흐름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은 분청도자의 우수성과 미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 전통과 현대를 아.
- 작가더보기
-
-
- 꼼꼼하게 찍은 인화문에 그의 인생이 담긴다_김진규
- 투박하지만 자유롭고, 청자나 백자에 비해 다양한 표현 기법으로 한국적 미를 보여주는 분청은 세계 유일 한국에만 있는 도자기다. 철화, 조화, 박지, 상감, 인화 등 무늬를 넣는 방법에 따라 독특하고 다양한 미감을 보여준다. 그 중 인화문 작업에 매료되어 25년간 인화분청을 만들어 온 김진규 작가는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작품을 통해 .
-
- 도예가 한종규 흙으로 구현한 순수 추상
- 「variation」 39.5×39.5×6cm | 슬립캐스팅, 슬립소지, 안료, 백매트유, 수금 | 2022최근 동시대 도예의 흐름을 살펴보면, 현대 도예가 현대미술에서 다루는 다양한 표현기법이나 작업의 주제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특히 작가들의 작업 주제에 있어 다변화가 이루어진 점이 주목된다. 형태와 색상 등 기본적인 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