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업도예가로 살아남는 일?
| 김대웅 도예가
지난해 덴마크의 레지던시 프로그램ICRC에 초대돼 갔을 때의 일이다. 어딜 가나 작가들의 관심사는 비슷하기 마련인지 유럽의 도예가들과 나눈 대화의 많은 부분이 대체로 작업여건과 관련된 것들이었다. 그래 이런저런 고충을 나누면서 전업작가로 살아가는 일이 유럽이라고 더 편할 수는 없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됐었다. 어쩌면 작가의 길을 선택한 순간부터 예술가들은 지역에 관계없이 생계유지와 예술적 열정이 끊임없이 모순적으로 충돌하는 딜레마에 직면할 수밖에 없는 듯하다. 이는 마치 어떤 배가 이상을 위해 기꺼이 어려운 길을 선택했으나, 그 풍랑이 너무 거세 목적은 상실된 채 오로지 살아남는 일에 급급하여 남은 연료를 다 소진할 수밖에 없는 것과 동일한 비극적인 상황을 쉽게 몰고 온다.
장르에 관계없이 대다수의 작가들이 공통적으로 원하는 게 있다면 아마도 성공적인 전업작가로 자리매김하는 일이리라. 그렇지만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은 이유로 이런 소망을 현실화할 수 있는 사람은 결코 많지 않다. 더욱이 성공적인 작가는 그 중에서도 소수일 수밖에 없다. 여기서 성공적인 전업작가란 자신의 작업세계를 이룩하고, 이로써 일가를 이룬 이를 일컫는다. 하루하루 생계를 유지하고, 무반성적으로 작업을 이어가는 수준을 넘어 고유의 예술적 성취를 이뤘을 때라야 비로소 성공적인 전업작가로 불릴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작가의 길을 선택했기에 감당해야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견디는 일만으로도 그 존재 가치를 어느 정도 증명할 수는 있다. 다만 그 자체만으로 존경과 경애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예술가가 한 사회 혹은 시대를 대변하는 지성으로서 존경받을 수 있거나 받아야 하는 이유가 있다면, 이는 단지 현실의 어려움을 견디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그런 현실에 굴하지 않고 깨어 있기를 고집하며, 이로써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창조해가고자 하는 불굴의 의지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 맥락에서 볼 때 이 글에서 다룰 ‘전업도예가로 살아남기’는 우선 그와 같은 성공적인 전업작가를 꿈꾸는 나와 우리의 현재를 냉정히 돌아보는 일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 연유에라야 각자가 가야할 방향과 목적을 그나마 현실적이면서도, 구체적으로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일부 내용이 생략됩니다. 월간도예 2010년 3월호를 참조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