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2009.09월호 | 특집 ]

한국 음식문화 속 도자식기의 변화
  • 편집부
  • 등록 2010-04-01 19:12:27
  • 수정 2010-04-01 20:03:09
기사수정
  • 한국 음식문화 속 도자식기의 변화_이은욱

한국 음식문화 속 도자식기의 변화

이은욱 식기·음식연구가

도자사 속 식기의 의미
식기食器는 음식飮食을 담기위해 만들고 음식은 식기에 담겨졌을 때 비로소 하나의 음식으로서 완성된다. 자연식품을 채취해서 먹던 시기를 제외하고 식기는 음식과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며 발전되어져 왔다. 한 나라의 지배사상, 문화적인 영향, 농업과 어업의 발달은 음식의 발달과 분화를 가져오고 이는 곧 식기의 다양화와 기능의 발전을 요구하면서 그 시대를 대표하는 하나의 상차림으로 정립되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지금 우리가 하루 세 번 만나는 이 식탁의 문화가 얼마나 오랜 기간에 걸쳐 완성된 작품인지, 너무나 익숙하게 늘 접하는 일상의 문화이기에 이를 간과하기 쉬운 것이 사실이다. 
우리는 식사를 할 때 주로 밥과 반찬을 먹는다. 혹자는 한식 세계화의 걸림돌이 바로 밥과 반찬문화 때문이라고도 한다. 밥을 먹기 위한 반찬. 외국인이 보기에 너무도 자극적일 수도 있다. 즐겨 먹지 않는 찰진 밥과 뜨겁고 짜고 매운 반찬이란 그들에게는 불편할 만한 일이다. 그런데 이런 밥과 반찬으로 구성되는 밥상차림이 이미 삼국시대三國時代부터 기본양식으로 정립되어져 왔다. 이전 시기의 밥은 찐밥의 형태로서 오늘날과는 다른 질감이었으나 삼국시대에는 무쇠솥의 보급으로 오늘날과 유사한 밥 짓기가 보편화되고 증숙기蒸熟器 시루의 발달은 떡을 의례음식으로 자리 잡게 한다. 아울러 떡 이외에도 고기나, 생선을 쪄서 익히는 찜요리의 시작을 가지고 온다. 위지동이전에는 “고구려 사람들은 스스로 장양藏釀을 잘한다”고 서술한다. 여기서 장양藏釀이란 술빚기와 장 담그기, 채소 절임등의 발효식품을 말하는 것으로 장醬-간장,된장등의 저장식품, 시?-장류, 포脯-고기나 어패류 말린것, 해?-젓갈, 김치가 이미 이시기에 상용기본식품으로 자리가 잡혔음을 가늠케 한다. 삼국시대의 김치는 채소를 소금에 절이거나, 소금과 쌀밥을 섞어서 절인 것으로 김치의 기원이 되는데 후에 해형김치?型-젓갈을 넣은 김치와 침채김치沈菜-국물을 먹을 수 있는 동치미류의 김치로 분화 발달된다.
장류의 발달과 술, 기름, 식초의 사용으로 채소를 양념하여 무치거나 볶는 나물 요리도 시작되면서 지금의 찬饌류 음식의 기본이 자리 잡히게 된다.
식생활에서 음식의 발달은 조리용구와 식기의 종류가 다양하게 발전 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식기는 주로 도기陶器, 칠기漆器, 금은기金銀器, 청동기靑銅器, 철기鐵器등의 많은 종류의 식기가 사용되었는데 의례용기나 장식품이 아닌 보편성이 있는 식기로 도기陶器와 칠기漆器가 사용되었다. 일용식기로서 밥과 반찬을 담을 완?,발鉢,합盒,반盤,배杯등이 이용되면서 장양藏釀문화를 바탕으로 한 호壺가 제작된다. 굽이 높게 제작된 이 시기의 식기는 후대로 갈수록 낮게 제작되는데 조선시대에 이르러 경배의 의미로 제기祭器에 다시 복원되어 사용되게 된다.

도기陶器에서 자기瓷器로의 발전은 도자사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자기를 만드는 기술은 오랜 기간 중국의 전유물이었고 이는 유럽에 쉬누아즈리chinoiserie와 함께 자기를 갖고자하는 강한 열망을 불러일으키며 1709년 마이센Meissen에서 자기제작의 성공으로 이어진다. 우리나라는 12세기 고려시대에 이르러 자기를 제작하게 된다. 그런데 흥미로운 점은 고려시대 자기제작의 중심에 바로 차문화가 있었다는 것이다.
고려의 국교는 불교다. 불교는 깨달음을 얻는 수행과정에 교리를 공부하는 교종敎宗과 참선을 하는 선종禪宗이 있다. 고려의 불교는 선종으로 넓게 전파되는데 그에 따른 좌선에 필요한 차를 담는 다기로서 청자의 필요성을 이해하면서 요구하게 된다. 중국에서의 수입으로 수요를 감당하기 힘들자 제작기술을 배우며 완성하게 된 것이다. 자기의 제작기술을 도입하는 과정에 차이가 있지만 마치 일본이 차 문화 발달로 인해 임진왜란을 일으킨 후 1616년 즈음 자기를 제작한 경우와 비슷하다고 하겠다.

 

<일부내용이 생략됩니다. 월간도예 2009년 8월호를 참조바랍니다>

0
비담은 도재상_사이드배너
설봉초벌_사이드배너
산청도예초벌전시장_사이드배너
월간세라믹스
전시더보기
작가더보기
대호단양CC
대호알프스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