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2008.09월호 | 전시리뷰 ]

『이정훈』 도예전
  • 편집부
  • 등록 2009-07-11 11:46:44
  • 수정 2009-07-11 11:49:11
기사수정
  • 영혼이 있는 예술
  • 2008.7.30 ~ 8.5 서울 인사아트센터

*윤동희 미술전문기자, 도서출판 북노마드 대표

영혼이 깃든 그릇 앞에서

미술이란 그것이 회화든, 조각이든, 또한 이정훈의 작품처럼 도자기이든 작가의 심리적인 고백을 담기 마련이다. 르네 위그Rene Huyghe가 지적했듯이 예술가는 선과 색채에 감정의 위력을 담아 사물을 바라보고 느끼는 방식과 존재하는 방식을 전달하는 본능을 가진 존재다. 한 줄로 정리하자면 표현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살아가는 존재라고 할수있다.
원래 이종훈은 회화적 표현 양식을 통해 세상과 소통해왔다. 이런 그에게 2년 전 작가의 손에서 헤아릴 수 없는 회전의 어지러움을 감내한 도자기들은 작가의 마음을 담은 채 오롯이 숨 쉬고 있다. 그 호흡이 들고 날 때마다 관객들은 작가의 침묵 속에 깃든 메시지를 헤아리게 된다. 얼핏 화려해 보이는, 꽃이라는 장식적 이미지가 도자기의 외면을 감싸고 있지만 도자기의 비어 있는 공간 속에 작가의 회로애락이 똬리를 틀고 있음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작가에게 전시란 자신의 분신이 대중과 만나 자신만의 빛을 발하는 시간이다. 작품이 작가의 방, 혹은 작업실에서 나와 제자리를 찾는 유일한 기회이기도 하다. 바로 여기에서 작품이라는 기호는 인간 언어의 부족함을 배우는 이미지로 자신의 본래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전시라는 예술적 행위가 빈번해서는 안 되는 까닭은 바로 여기에 있다. 전시가 인간의 지성을 넘어 영혼을 자극하려면 그것이 온전히 숙성할 수 있는 절대적인 시간이 필요한 법이다. 5년 만에, 회화가 아닌 도자기라는 새로운 언어로 찾아온 이정훈의 전시가 단순히 장르의 변화를 넘어 작가의 주관적인 체험과 감상자의 주관적인 인상 사이를 절묘하게 될 수 없는, 그러나 예술을 업보로 삼은 고통을 머리에 이고 살아가야만 하는 한 작가의 치열한 삶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작가 이정훈에게 작품이란, 아니 작품을 만드는 행위란 세상 그 무엇도 안겨줄수 없는 치유라는 선물을 안겨주었을 것이 분명하다. 예술이 영혼이라는 단어와 항상 결부되어 세상을 유영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수년 후, 이정훈의 또 다른 전시가 벌써부터 기다려진다.

 

<본 사이트에는 일부 내용이 생략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도예 2008.9월호를 참조바랍니다.>

0
비담은 도재상_사이드배너
설봉초벌_사이드배너
산청도예초벌전시장_사이드배너
월간세라믹스
전시더보기
대호단양CC
대호알프스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