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약,세라믹의옷① 도예가 권재우 색으로 기억되는 도자
- 유약,세라믹의옷① 도예가 권재우색으로 기억되는 도자글. 박진영 객원에디터 사진. 이은스튜디오 권재우 작가는 유약으로 만들어낼 수 있는 무한한 색의 조합 중에서 현대 도자기에 맞는 색을 찾기 위...
- 2021-06-30
-
- 이달의작가 현존에 대한 기록을 담아낸 서사 임의섭,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이달의작가
현존에 대한 기록을 담아낸 서사
임의섭,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글.안준형 여주시청 주무관, 문화행정가
시류에서벗어난기능에바탕을둔생김새
임의섭 작가의 작업을 처음 마주...
- 2021-06-30
-
- 이달의작가 작은 조형이 되는 장신구 김은미
-
이달의작가
작은 조형이 되는 장신구 김은미
글.서희영 객원 에디터 사진.작가 제공
최근 미술시장에서는 쉬우면서도 개인취향이 골고루 반영된 다양한 스타일의 작품들이 많이 판매된다. 그 한...
- 2021-06-30
-
- 젊은작가 김준명
-
젊은작가
월간도예가 주목하는 도예가④
새김으로 축적된 시간김준명
글.이소현미술사·예술학 연구원 사진.편집부
영은미술관 제4 전시실의 넓은 공간이 도자로 빚어진 돌로 가득 채워졌다. ...
- 2021-06-30
-
- 해외무대의 한국도예가 ① 김연수
-
해외
해외무대의 한국도예가 ①
떠나기, 낯설어지기, 중간지점 찾기김연수
글. 정수경 객원에디터 사진. 작가제공
질박한 옹기의 형상과 자연에게 빌려온 따뜻한 컬러 위에 새겨진 생경한 ...
- 2021-05-04
-
- 이달의작가 박정근
-
이달의 작가
끝이 아닌 변화의 시작 박정근
글 사진. 김성희 객원 에디터
박정근 작가는 올해 2월 20일부터 3월 7일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서울일삼에서 일곱번째 개인전을 선보였다. 전시 주제...
- 2021-05-04
-
- 젊은작가 신이서
-
젊은작가
월간도예가 주목하는 도예가③
도자 조형으로 담아내는 물의 감성신이서
글. 박진영 객원에디터 사진. 작가제공
얼마 전 가회동 예올 전시장에서 신이서 작가의 세 번째 개인전 <샘&g...
- 2021-05-04
-
- 클레어 투미
-
해외
과거이자 현재인 시간클레어투미글.신은정영국 통신원 사진제공.클레어투미
영국 도예가 클레어 투미의 작품을 인상적으로 본 것은 2006년 런던 빅토리아 앤 알버트 박물관에서 있었던 <...
- 2021-04-02
-
- 이달의작가 윤경혜
-
이달의작가
사금파리의 색과 질감으로 재현한 내면의 일면윤경혜의 도편화글.홍지수미술비평, 미술학 박사, 홍익대 강사
붓이나 여러 가지 유약시유방식 대신 흙 그리고 산화물을 섞어 흙 본연의 ...
- 2021-04-02
-
- 젊은작가 우시형
-
젊은작가
월간도예가 주목하는 도예가②흙, 불, 나무 그리고 예민함으로 빚는 기물 도예가 우시형
글.박진영객원에디터 사진.편집부
지난 해 공예트렌드페어 창작공방관에서 우시형 작가의 부스가...
- 2021-04-02
-
- 해겸도예 김해익
-
공간
비색에서 황청까지옛청자에 나타난 색과 불길 재현하는해겸도예 김해익
글. 이연주 기자 사진. 이은 스튜디오
“고려청자는 천년이 지나도 변하지 않을 색을 유지할 정도로 수준높은 기술...
- 2021-03-03
-
- 이달의작가 옹기장 김일만
-
이달의작가
옹기, 쓰임을 넘은 오브제로써의 가능성김일만, 스스로 그러하다
글. 안준형 큐레이터 사진. 이은 스튜디오
김일만 옹기장 스스로도 무엇이라 설명할 수 없는 체화와 사유를 통해 얻...
- 2021-03-03
-
- 젊은작가 백경원
-
젊은작가
월간도예가 주목하는 도예가①
자유로움이 빚어낸 조형미
백경원
글·사진. 이수빈 기자
공예의 매력 중 하나는 만든 사람의 손길이 담겨있다는 점이다.백경원의 작품은 흙을 차곡차...
- 2021-03-03
-
- 김대용·타카노 에리
-
공간
흙의 본질, 자연의 움직임을 만드는 도예가 부부김대용·타카노 에리글. 박진영 객원 에디터 사진. 편집부
경기도 이천 도자예술마을 예스파크에 살며 작업하는 도예가 부부 김대용과 타카노 에...
- 2021-01-29
-
- 권 신: 치유와 재생
-
EXHIBITION TOPICS
2020 한국공예관 충북의 작가 초대전권 신: 치유와 재생글. 도계은 한국공예관 큐레이터 사진 제공. 한국공예관
2020.11.24.~2021.1.17한국공예관 갤러리5충북 청주시 청원구 상당로 3...
- 2021-01-29
-
- 이헌정의 도자, 만들지 않고 태어난
-
EXHIBITION REVIEWS
즉흥과 우연의 리듬이헌정의 도자, 만들지 않고 태어난글. 이건수 미술비평가 사진제공. 박여숙 화랑
이헌정의 공간적 도예 속에서 느껴지는 가장 큰 특징은 자유로움, 천진난만함, 거...
- 2021-01-29
-
- 김종훈의 정호다완
-
EXHIBITION REVIEWS
자신만의 사유로 해석해김종훈의 정호다완글. 우정우 학고재 갤러리 디렉터 사진제공. 학고재 갤러리
김종훈은 20여 년 동안 정호다완을 연구하 고 제작하며 한국 도예의 맥을 이어온 ...
- 2021-01-29
-
- 엄성도 <석고틀의 유전자 조작>
-
ARTIST OF THE MONTH
혼동의 장을 손쉽게 구조화, 변형하는 ‘유전자 조작법’엄성도의 <석고틀의 유전자 조작>글. 홍지수 미술평론, 미술학박사
물질, 노동 그리고 공정의 간소화석고성형은 손성형이...
- 2020-12-29
- 전시더보기
-
-
- 이동식의 달항아리_2025.1.17.~2.15.
- 1. 17. ~2. 15. 운중화랑 전시 전경달항아리, 피안의 세계를 담다18세기 잠시 나타났다 사라졌다고 여겼던 백자대호가 300년이 지나 다시 주목 받는다. 달항아리가 가지는 동 시대성을 의미하는 것일까? 점차 개별화되고 간결한 미를 추구하는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이만큼 부합하는 것도 없다. 무채색 흰 빛깔과 살짝 일그러지며 흐르는...
-
- 2024 고흥분청문화박물관 입주작가 성과 기획전 《분청변주》_2025.1.27.~3.30.
- 1. 27. ~3. 30. 고흥분청문화박물관 기획전시실젊은 도예가들의 3색 분청 변주곡2024년 고흥분청문화박물관 레지던시 프로그램에는 윤준호, 전희은, 이정빈 3명의 젊은 작가들이 입주해 작업했다. 윤준호 작가는 올해 레지던시 입주 5년 차로 4년간 레지던시에서 계획하고 실험, 모색해 온 것들을 정리, 완성하는 동시에 올해는 특별히 귀얄과 분.
-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_2024.11.26.~3.3.
- 2024. 11. 26. ~3. 3.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2상형청자의 다채로운 세계를 조명하다지난 2024년 11월 26일부터 2025년 3월 3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한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는 고려 시대 상형청자象形靑磁를 단독 주제로 집중 조명하는 전시였다. 상형청자象形靑磁란 인물, 동물, 식물 등의 형상을 본떠 만든 청자...
-
- 《한국현대도자공예:영원의 지금에서 늘 새로운》_2024.11.21.~5.6.
- 2024. 11. 21. ~5. 6.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박정훈30년 만에 다시 보는 한국현대도예현대도예의 태동과 오늘인간과 예술에 관한 논의를 할 때면 흔히 최초의 미술품인 선사시대의 동굴벽화를 화두로 삼는다. 당시의 문화나 신앙 등 사회 상황을 잘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라면 토기나 장신구 등과 같은 초...
-
- 대한민국분청도자대전 15년의 발자취
- 전시전경김해분청도자박물관은 1월 24일부터 3월 30일까지 기획전 시실에서 을 주제로 한 특별 전시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는 우리나라 최초의 분청도자 전국 공모전인 이 걸어온 15년간의 발자취를 조명하고, 현대 분청도자의 흐름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은 분청도자의 우수성과 미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 전통과 현대를 아.
- 작가더보기
-
-
- 꼼꼼하게 찍은 인화문에 그의 인생이 담긴다_김진규
- 투박하지만 자유롭고, 청자나 백자에 비해 다양한 표현 기법으로 한국적 미를 보여주는 분청은 세계 유일 한국에만 있는 도자기다. 철화, 조화, 박지, 상감, 인화 등 무늬를 넣는 방법에 따라 독특하고 다양한 미감을 보여준다. 그 중 인화문 작업에 매료되어 25년간 인화분청을 만들어 온 김진규 작가는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작품을 통해 .
-
- 도예가 한종규 흙으로 구현한 순수 추상
- 「variation」 39.5×39.5×6cm | 슬립캐스팅, 슬립소지, 안료, 백매트유, 수금 | 2022최근 동시대 도예의 흐름을 살펴보면, 현대 도예가 현대미술에서 다루는 다양한 표현기법이나 작업의 주제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특히 작가들의 작업 주제에 있어 다변화가 이루어진 점이 주목된다. 형태와 색상 등 기본적인 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