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선-도자 위의 바느질이 주는 위로
- Making도자 위의 바느질이 주는 위로김선글_김은선 기자 사진_ 편집부어린시절의 기억을 바탕으로 작업하는 김선 작가의 세 번째 개인전 가 지난 11월 11일부터 17일까지 7 일간 성수동 스페이스 오매에서 열...
- 2020-09-29
-
- 김덕호의 백자연리문기 白瓷鍊理文器
-
Artist
김덕호의 백자연리문기 白瓷鍊理文器‘흔적’에서 ‘공간’을 보다글_홍지수 미술학박사, 공예평론재료와 과정을 살펴야 할 이유결과만큼이나 과정이 중요하지 않은 예술 작업이 어디 있을까 ...
- 2020-09-29
-
- 멕시코 장인,호세 가르시아 안토니오
-
WORLD
멕시코와 흙 ⑤ 눈이 되어주는 손, 세상을 보여주는 흙멕시코 장인,호세 가르시아 안토니오글·사진_홍 은 자유기고가
‘네가 꼭 만나보면 좋을 사람이 있어’멕시코 예술가 친구가 몇 번을 강조...
- 2020-09-07
-
- 핀란드 작가 킴 시몬손
-
world
핀란드 작가 킴 시몬손 Kim Simonsson신비로운 이끼 소년이야기글_서명지 핀란드 통신원 사진_ Jefunne Gimpel
핀란드 피스카르스에 방문 당시, 꿈 미술관 KWUM Museum 에서 유난히 눈에 띄는 작품이 있었다. ...
- 2020-09-07
-
- 이정석
-
Artist
도예의 물질성에 대한 탐구이정석글_김기혜 기자 사진_ 편집부
흙이라는 물질이어야만 하는 근원적 이유, 흙의 가소성과 용해성 등 물질의 특성에 대한 탐구적 태도를 견지해온 이정석은 돌을 ...
- 2020-09-07
-
- 기억과 감정을 담은 분청-거시기요 윤신의
-
SPACE
거시기요 윤신의기억과 감정을 담은 분청
글. 박진영 객원 에디터 사진. 이은 스튜디오
얼마 전 인사동 경인미술관에서 도예가 윤신의의 개인전이 열렸다. 이 전시를 통해 전라남도 무안에서 분...
- 2020-09-01
-
- 서희수 <사라지는>
-
ARTIST OF THE MONTH
서희수 <사라지는>흡족한, 흥미로운, 자연스러운 형태를 찾는 발견과 포착의 유희글. 홍지수 미술평론, 미술학박사 사진. 김정한
어린아이가 흙이나 리본을 가지고 노는 것처럼 흙 ...
- 2020-09-01
-
- 정인혜-겹으로 쌓인 기억
-
YOUNG ARTISTS
2020월간도예가 주목한 도예가 ⑦겹으로 쌓인 기억 정인혜글. 이수빈 기자 사진. 편집부
회전의자, 소화기, 공병, 장화 등 갖가지 사물이 같은 색을 입고 고요한 풍경을 이룬다. 관람객은 먼지...
- 2020-09-01
-
- 김시만 - 도가(道家)와 도가(陶家)
-
EXHIBITION REVIEWS글.신성수 前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교수, 現 신문로인문학회 회장 사진. 편집부
도가(道家)와 도가(陶家)도가사상으로 보는 김시만 작가의 예술세계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전통문...
- 2020-09-01
-
- 관계의 의외성 -김유주
-
ARTIST OF THE MONTH
관계의 의외성김유주글. 이연주 기자 사진. 편집부
작가 김유주의 네 번째 개인전 <넥서스Nexus>가 지난 5월 6일부터 12일까지 갤러리 이즈에서 열렸다. 지난 1997년 첫번째 개인전 (...
- 2020-07-29
-
- 연호경의 컨트롤+티
-
YOUNG ARTISTS
2020월간도예가 주목한 도예가 ⑥연호경의 컨트롤+티글. 박진영 객원에디터 사진. 편집부
지난 6월, 북촌의 크래프트온더힐에서 도예가 연호경의 개인전 ‘컨트롤+티ctrl+T’가 열렸다. 작...
- 2020-07-29
-
- 신상호의 현대 분청
-
EXHIBITION TOPICS
여전히 유효하고 독자적인,신상호의 현대 분청글. 홍지수 미술비평, 미술학박사 사진. 편집부
2020.7.1~10.31신상호 스튜디오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호국로311번길 20-39 T. 031.826.4549
신상...
- 2020-07-29
-
- 이시대의 청자, 고현 조장현
-
SPACE
이 시대의 청자고현古現 조장현
글. 박진영 객원 에디터 사진. 이은숙 포토그래퍼
고려의 멸망과 함께 거의 사라졌다가 1970년대 말에야 재현되기 시작한 고려청자는 우리의 찬란한 전통 예술을 ...
- 2020-07-20
-
- 유쾌한 사랑의 표현 한정은
-
YOUNG ARTISTS
2020월간도예가 주목한 도예가 ⑤유쾌한 사랑의 표현한정은글. 이수빈 기자 사진. 편집부
작가 한정은의 작품을 관통하는 주제는 ‘사랑’이다. 불감, 기도문 등 염원을 탑처럼 쌓아올린 ...
- 2020-07-17
-
- 윤지용의 체스맨_도시인in
-
EXHIBITION REVIEWS
도시성을 마주하다윤지용의 체스맨_도시인in글. 오가영 KCDF갤러리 큐레이터 사진제공. 윤지용
도자 작가 윤지용은 도시와 도시인에 관심을 둔다. 작가에게 도시는 밀집적인 생활공간...
- 2020-07-17
-
- 여름밤처럼 시원한 만남, 도자×유리 협업 프로젝트 권은영&이정원
-
Young Artist of the Month
여름밤처럼 시원한 만남, 도자×유리 협업 프로젝트권은영&이정원글_이연주 기자 사진_ 편집부, 조은숙 갤러리
도자와 유리는 가마를 이용하는 제작방식 뿐만 아니라 재료의 본...
- 2020-06-08
-
- 흙에 자연을 담아 위로를 빚다 <엄미희>
- MAKING 흙에 자연을 담아 위로를 빚다엄미희글.사진.김은선 기자 엄미희 작가를 처음 만난 건 지난 4월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열린 ‘2019디자인아트페어’였다. 벽면에 설치된 작업들은 민들레, 담...
- 2020-06-01
-
- 고우정<아이워 愛我 >
-
Young Artist of the Month
고우정<아이워 愛我 >2019.7.20~8.18 영은미술관글.김소희 영은미술관 큐레이터
밝은 색, 아이 글씨 같은 텍스트 국어, 한자, 영어 로 덥힌 고우정의 작업은 도자의 전통 기법을 그 ...
- 2020-06-01
- 전시더보기
-
-
- 이동식의 달항아리_2025.1.17.~2.15.
- 1. 17. ~2. 15. 운중화랑 전시 전경달항아리, 피안의 세계를 담다18세기 잠시 나타났다 사라졌다고 여겼던 백자대호가 300년이 지나 다시 주목 받는다. 달항아리가 가지는 동 시대성을 의미하는 것일까? 점차 개별화되고 간결한 미를 추구하는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이만큼 부합하는 것도 없다. 무채색 흰 빛깔과 살짝 일그러지며 흐르는...
-
- 2024 고흥분청문화박물관 입주작가 성과 기획전 《분청변주》_2025.1.27.~3.30.
- 1. 27. ~3. 30. 고흥분청문화박물관 기획전시실젊은 도예가들의 3색 분청 변주곡2024년 고흥분청문화박물관 레지던시 프로그램에는 윤준호, 전희은, 이정빈 3명의 젊은 작가들이 입주해 작업했다. 윤준호 작가는 올해 레지던시 입주 5년 차로 4년간 레지던시에서 계획하고 실험, 모색해 온 것들을 정리, 완성하는 동시에 올해는 특별히 귀얄과 분.
-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_2024.11.26.~3.3.
- 2024. 11. 26. ~3. 3.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2상형청자의 다채로운 세계를 조명하다지난 2024년 11월 26일부터 2025년 3월 3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한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는 고려 시대 상형청자象形靑磁를 단독 주제로 집중 조명하는 전시였다. 상형청자象形靑磁란 인물, 동물, 식물 등의 형상을 본떠 만든 청자...
-
- 《한국현대도자공예:영원의 지금에서 늘 새로운》_2024.11.21.~5.6.
- 2024. 11. 21. ~5. 6.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박정훈30년 만에 다시 보는 한국현대도예현대도예의 태동과 오늘인간과 예술에 관한 논의를 할 때면 흔히 최초의 미술품인 선사시대의 동굴벽화를 화두로 삼는다. 당시의 문화나 신앙 등 사회 상황을 잘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라면 토기나 장신구 등과 같은 초...
-
- 대한민국분청도자대전 15년의 발자취
- 전시전경김해분청도자박물관은 1월 24일부터 3월 30일까지 기획전 시실에서 을 주제로 한 특별 전시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는 우리나라 최초의 분청도자 전국 공모전인 이 걸어온 15년간의 발자취를 조명하고, 현대 분청도자의 흐름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은 분청도자의 우수성과 미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 전통과 현대를 아.
- 작가더보기
-
-
- 꼼꼼하게 찍은 인화문에 그의 인생이 담긴다_김진규
- 투박하지만 자유롭고, 청자나 백자에 비해 다양한 표현 기법으로 한국적 미를 보여주는 분청은 세계 유일 한국에만 있는 도자기다. 철화, 조화, 박지, 상감, 인화 등 무늬를 넣는 방법에 따라 독특하고 다양한 미감을 보여준다. 그 중 인화문 작업에 매료되어 25년간 인화분청을 만들어 온 김진규 작가는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작품을 통해 .
-
- 도예가 한종규 흙으로 구현한 순수 추상
- 「variation」 39.5×39.5×6cm | 슬립캐스팅, 슬립소지, 안료, 백매트유, 수금 | 2022최근 동시대 도예의 흐름을 살펴보면, 현대 도예가 현대미술에서 다루는 다양한 표현기법이나 작업의 주제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특히 작가들의 작업 주제에 있어 다변화가 이루어진 점이 주목된다. 형태와 색상 등 기본적인 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