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창용 개인전_평온을 위한 절제
- 리드리히 외틴게르와 라인홀드 니버가 쓴 『평온을 위한 기도』의한 구절이다. 이창용 작가의 이번 전시에서 이 구절은 그 자체로 살아 움직이는 이야기가 되...
- 2023-12-27
-
- 박창수 소장 <옛 찻사발>전
- 진주는 차문화의 발상지이자 근대 차茶문화 선구자인 아인 박종한의 고향이다. 그는 평생 차와 민족을 생각한 차茶인으로서 우리나라 차 문화 운동을 펼쳐왔...
- 2023-12-27
-
- 박지원 <내츄럴 폼>
- 박지원이 흙으로 빚어낸 조각은 자연스레 뻗는 줄기처럼 보인다. 공간을 점유한 조각들은 정지된 상태로 존재하지만, 언제라도 꿈틀대며 더 나은 방향으로 나...
- 2023-12-27
-
- 이재용 <토기숲>
- 한반도에서는 청자로 대표되는 ‘자기’가 탄생하기 이전에도 그 이후에도 ‘토기(도기)’라 불리는 그릇들이 만들어져 왔다. 선사시대의 연질토...
- 2023-12-27
-
- 블루 그레이, 정호진
- Blue Gray-생명의 길 글_심규한 시인 사진_정호진 제공 정호진 작가는 스스로 한강 마포에서 바다를 따라 강진만에 왔다고 한다. 청자빛을 찾아! 꿈같지 않은가? ...
- 2023-11-30
-
- 고요한 천지에 내려앉은 둥근 빛, 이학천
- 고요한 천지에 내려앉은 둥근 빛 글_손병철 철학박사, 시인 사진_이학천 제공 / 전경 사진_편집부 희고 둥근 달항아리는 조선의 마음이다. 조선인의 심물인 것...
- 2023-11-30
-
-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 도예적 중요성을 한눈에
- [줌인]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 도예적 중요성을 한눈에 9월1일 개막하는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 본전시 에는 16명의 도자 작가가 참여한다. 한국과 미국에서 활...
- 2023-10-04
-
- [전시토픽] 백색소음
- 첫 번째 기획 ‘Like A Rolling Stone’은 1965년 밥딜런Bob Dylan이 발매한 동명의 포크 락 곡에서 영감을 얻어 기획한 전시로, 중진작가 3인의 새로운 재료에 대한 탐...
- 2023-09-27
-
- 강석영 개인전 <도자로 그린 회화>
- 강석영 개인전 캐스팅 기법을 사용한 동시대적 감각의 백자로 추상도자의 세계를 구축해 온 강석영의 작업은 조형원리에 충실한 형태를 만들고 물리적 충격...
- 2023-09-27
-
- 제기 예찬 순수조형의 아름다움
- 제기 예찬 순수조형의 아름다움 조선백자 제기의 미와 현대미술과 만남6.7.~7.16. 현대화랑조선백자의 순결한 아름다움은 날이 갈수록 빛을 더해 가고 있다. 백...
- 2023-09-01
-
- RESTORATION & HYBRID_윤영수 분청기물전
- 나의 작품세계
RESTORATION & HYBRID
윤영수분청기물전 <관Insight>, 사진전 <일장춘MOON 동상이MOON>7.19.~25. 갤러리 공간35
나의 작업은 관Insight, 하이덴티티HYDENTITY 포터레이트POTTERAIT 등 연작으로...
- 2023-09-01
-
- 전통적 사물의 물질적 상상력_이정협
- 전통적 사물의 물질적 상상력
이정협 <자연을 향한 사유의 시선>8.4.~8.27. 여주도자문화센터 도자전시관
우리는 단 한 세기 만에 지난 수천 년간 일어난 변화의 진폭을 넘 어선 격동의 시대를 살아...
- 2023-09-01
-
- 모란과 연이 어우러진 푸른 정원_안영경 도화전
- 모란과 연이 어우러진 푸른 정원
안영경 도화전 <푸른 모란>8.16.~8.27. 용산공예관
도예가 안영경은 단국대학교 대학원 조형예술학과 도자조형 디자인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인덕대학교 세라믹 ...
- 2023-09-01
-
- 담을 수 없는 그릇_최유진 개인전
- 담을 수 없는 그릇
최유진 개인전 <아름답지 않은 것>7.7.~8.8. 갤러리 CISO
흙으로 빚어 고온에 굽는 도자는 보기보다 약하지 않지만, 깨지 기 쉽다는 통념이 있다. 물렁한 흙덩어리에서 고밀도 광물...
- 2023-09-01
-
- 도예가 아버지·세라믹 공학박사 / 아들의 기획전 천년의 이야기
- 전시토픽 EXHIBITION TOPICS
도예가 아버지·세라믹 공학박사 아들의 기획전 천년의 이야기
한국의 아름다운 청자 전시 <천년의 이야기Story of Thousand Years>2023.4.6.~5.26.가 미국 캘리포니아주 남서부 풀러턴...
- 2023-07-25
-
- 제주 검은굴 릴레이전
- 전시토픽 EXHIBITION TOPICS
제 주 검 은 굴 릴 레 이 전
2023 제주 검은굴 릴레이전6.2.~7.31. 제주 감저카페 갤러리
전통 돌가마 소성작품 한자리에 지난 6월 2일부터 제주 감저카페 갤러리에서 개최된 <...
- 2023-07-25
-
- 자연을 담다_박재국 20회 개인전
- 나의 작품세계 CLAY WORLD OF ARTISTS
자 연 을 담 다
박재국 20회 개인전
나의 작업에 등장하는 달항아리와 그릇은 순백자의 이미지를 가지고 표현했을 뿐 핵심은 인간의 고독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게 있다....
- 2023-07-25
-
- AI와의 협업을 도모하는 도예가 김아영
- AI와의 협업을 도모하는 도예가
김아영
이화여대에서 도예를 전공한 김아영은 개념공상소설 「니닉 - 청록 전쟁」편을 독립출판 했으며, 자신이 창조한 판타지 세계 ‘니닉’을 대중들에게 전하는 내러...
- 2023-07-25
- 특집더보기
-
-
- [특집I] 흙과 시간, 손이 빚어낸 흔적_김덕호 작가 인터뷰
- 흙을 쌓아 층층이 패턴을 빚는 연리문連理紋. 김덕호 작가는 이 기법으로 흙의 물성과 자연의 흔적을 도자에 담는다. 물레 위에서 색 점토가 겹겹이 쌓이고, 손끝으로 깎이며 완성되는 그의 작업은 전통과 현대가 얽힌 시간을 드러낸다. 연리문은 단순 장식이 아니라, 흙과 장인의 대화 속에서 피어나는 생생한 기록이다.청화백자에서 피어..
-
- [특집II] 백연리에 담긴 기억의 층_김인식 작가 인터뷰
- 「器憶 2411-5」 ⵁ28×h36.5cm | 1250℃, RF, 무유, 연마◎ 연리 작업을 통해 기억을 형상화하고 계시는데, 흙을 쌓고 깎아내는 과정이 작가님이 떠올리는 기억의 형성과 소멸 과정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사람의 기억은 삶이라는 과정 안에서 점점 잊히기도 하지만, 특정 장소나 음악, 어떠한 향기나 인물 등을 접하게 되며 망각하고...
-
- [특집III] 연리문에 깃든 시간의 흐름_조신현 작가 인터뷰
- 조신현 작가는 연리문 기법을 현대 도예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요소라 말한다. “전통 공예는 실용성을 기반으로 했지만, 현대 도예는 개념적 예술로 확장되고 있어요. 연리문은 이 둘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죠.” 그는 연리문의 본질을 ‘시간을 담아내는 기법’으로 정의하며, 이를 통해 감각적이고 개념적인 ...
- 도예마당더보기
-
-
-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9]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白磁象嵌牡丹紋瓢形甁
- 사진1)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조선시대 15세기. 높이 19cm, 입지름 2cm, 바닥굽 지름 5.8cm태조 이성계의 조선왕조가 시작되면서 사회, 정치, 문화의 각 분야에 변화의 바람이 몰아치는 도중에 생활과 밀접한 도자기 또한 고려청자의 틀에서 새롭게 두 갈래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고려시대의 맥을 그대로 이은 조선 상감청자와 중.
-
- [소소담화39] 한국 공예의 하이엔드 high-end화와 전통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많은 소상공인이 어려움을 겪고 국내 산업 생태계의 생산성이 약화하였다지만, 미술과 공예계는 호황이었다. 프리즈frize 열풍이 불었고 키아프KIAF까지 열풍에 편승하며 「코로나 속 미술시장 호황」, 「화랑가 뜨거운 세일」, 「불붙은 경매 시장」, 「아트페어 속 오픈런」, 「완판, ..
-
- 2025 중국 랴우후 장작가마 동계 캠프
- 중국 윈난성 취칭시 랴우후는 1,200년 도자공예 역사를 가지고 있는 주로 생활 도자기를 생산하여 중국의 서남부지역에 공급해 온 작은 마을이다. 중국도 자사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마을이지만 1,000여 년 동안 꾸준히 장작가마를사용하여 생활도자기를 생산해왔고 현재에도 30여 개의 장작가마에서 100여 명의 도예가들이 주로 화병이나 ..
-
- Ceramic Brussels 2025_ 흙과 불이 나누는 이야기, 현대도예
- 전시장 전경벨기에 브뤼셀에서 세계 최초로 시작된 Ceramic Art Fair가 2025년 1월 22일부터 26일까지 4일 동안, 두 번째로 개최되었다. 행사 전부터 주최 측은 상세한 설명과 함께 여러 매체를 통해 적극적으로 아트페어를 홍보하였다. 첫날의 오프닝은 전문가들과 초청객을 위한 행사였고, 두번째 날 부터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었다. 전시장은 올해...
-
- 도예의 도시 캔자스 시티 예술 교육에서 창작까지 2부
- 새로운 뿌리를 내리는 한국 도예 작가들미국에서 작업하는 한국 작가들에게 “이곳은 집이 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은 익숙한 고민일 것이다. 특히, 도예라는 매체는 물성과 시간성을 품고 있으며, 전통과 현대, 지역성과 세계성을 동시에 아우르는 특성을 가지기에, 새로운 환경에서 작업하는 것은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 흙을 빚고...
- 작가더보기
-
-
- 꼼꼼하게 찍은 인화문에 그의 인생이 담긴다_김진규
- 투박하지만 자유롭고, 청자나 백자에 비해 다양한 표현 기법으로 한국적 미를 보여주는 분청은 세계 유일 한국에만 있는 도자기다. 철화, 조화, 박지, 상감, 인화 등 무늬를 넣는 방법에 따라 독특하고 다양한 미감을 보여준다. 그 중 인화문 작업에 매료되어 25년간 인화분청을 만들어 온 김진규 작가는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작품을 통해 .
-
- 도예가 한종규 흙으로 구현한 순수 추상
- 「variation」 39.5×39.5×6cm | 슬립캐스팅, 슬립소지, 안료, 백매트유, 수금 | 2022최근 동시대 도예의 흐름을 살펴보면, 현대 도예가 현대미술에서 다루는 다양한 표현기법이나 작업의 주제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특히 작가들의 작업 주제에 있어 다변화가 이루어진 점이 주목된다. 형태와 색상 등 기본적인 도자...
- 뉴스단신더보기
-
-
- 2025년 도자특화 인재 창업·창직 지원사업 접수_2025.3.18.~4.11.
- 한국세라믹기술원이 이천 지역 도자산업 활성화를 위해 『2025년 도자특화 인재 창업·창직 지원사업』을 공고했다. 이번 사업은 도자 분야의 창의적 인재를 발굴하고, 창업·창직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기여를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사업 신청은 4월 11일까지 이메일을 통해 접수받는다. 모집 대상은 이천 지역에서 도자 분...
-
- 2025년 ‘우수공예품지정제’ 공모 시작_접수 4. 7. ~4. 11.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하 공진원)이 ‘2025년 우수공예품지정제(K-Ribbon)’ 공모 접수를 시작한다고 26일 밝혔다. 실용성과 심미성을 두루 갖춘 공예품을 공식 지정하는 이 사업은, 한국 실용공예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장 저변을 확대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2014년 시작된 우수공예품지정제는 올해로 1...
-
- 차와 공예가 만난 자리 <2025 티앤크래프트페어> 성황리 개최
- 3월 20일부터 23일까지 서울 SETEC에서 열린 가 성황리에 마무리 됐다. 올해 첫 차 박람회로 주목받은 이번 행사는 전통 차 문화와 현대 공예가 한자리에 모인 뜻깊은 축제로, 다양한 연령층의 관람객들이 함께하며 차와 공예의 다채로운 세계를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이번 박람회는 전통차부터 현대적인 블렌딩 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의 차...
-
- 25년 만에 독일서 한국 문화의 정수 선보이다 《백 가지 행복, 한국문화특별전》 드레스덴 성에서 개막
- 국립중앙박물관과 독일 드레스덴박물관연합(SKD)이 공동 주최한 《백 가지 행복, 한국문화특별전》이 3월 15일부터 8월 10일까지 독일 드레스덴 성(레 지덴츠 궁)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1999년 에센·뮌헨 전시 이후 25년 만에 독일에서 열리는 최대 규모의 한국문화특별전이다.전시는 ‘행복’을 키워드로, 한국 문화의 정수와 ..
-
- 국립청주박물관, 특별전 《거울, 시대를 비추다》 열어
- 국립청주박물관(관장 이양수)이 2025년 상반기 특별전 《거울, 시대를 비추다》를 3월 21일부터 7월 20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거울을 매개로 고대인의 삶과 사유, 그리고 동북 아시아 문화의 교류 양상을 조명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전시는 ‘제작’, ‘상징’, ‘교류’라는 세 가지 관점 아래 세 부문으로 구성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