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지아 국제현대미술제- 전수걸 명장 부스 초대전_2024.9.30.~10.10.
- 조지아 국제현대미술제- 전수걸 명장 부스 초대전2024. 9. 30. ~10. 10.전시장소: Georgia Leonidz National Literature Museum 외백자 주전자 150x150x210mm 조지아 국제현대미술제 ...
- 2024-09-23
-
- MMCA 이건희컬렉션 《피카소 도예》_2024.7.16.~9.29.
-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국립현대미술관이 공동 주최한 2024 MMCA 이건희컬렉션 《피카소 도예》는 2021년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된 이건희컬렉션 가운데 피카소 ...
- 2024-09-20
-
- 《무브, 사운드, 이미지 Move, Sound, Image》_2024.8.22.~12.8.
- 8. 22. ~12. 8. 그라운드 서울 이번 전시는 무브, 사운드, 이미지의 결합으로 예술 작품의 창조적 순간이 생성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기획됐다. 도예, 회화, 조각, ...
- 2024-09-03
-
- 《향, 푸른 연기 피어오르니》_2024.8.27.~12.21.
- 8. 27. ~12. 21.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향, 푸른 연기 피어오르니》가 8월 27일부터 12월 21일까지 호림박물관 신사분관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에는 향을 피우는 과...
- 2024-09-03
-
- 이재익 《쉐입 오브 라이프 Shape of Life》_2024.9.3.~9.8.
- 9. 3. ~9. 8. 까사 로에베 서울 이번 전시는 ‘프리즈 위크 서울 2024’의 일환으로 이재익 작가의 《쉐입 오브 라이프 Shape of Life》를 까사 로에베 서울에서 ...
- 2024-09-03
-
- 최경애 개인전_2024.9.3.~9.19.
- 9. 3. ~9. 19. 오산시립미술관 최경애 작가는 ‘행복을 전하는 빛’을 주제로 은은하게 발하는 도자 조명을 통해 길상을 염원하는 작품을 선보인다. 투각 ...
- 2024-09-03
-
- 《9월의 다향전》_2024.9.2.~9.30.
- 9. 2. ~9. 30. 심헌갤러리 심헌갤러리 기획초대전 《9월의 다향전》이 9월 2일부터 30일까지 심헌갤러리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도자, 금속, 섬유공예 작가 23인...
- 2024-09-03
-
- 《아카데미즘: 전통과 혁신의 변증법》_2024.9.6(금)~12.30(월)
- 2024-08-28
-
- 신철순 《흙으로의 회귀》_2024.7.24.~8.11.
- 7. 24. ~8. 11. 아트뮤지엄 려 여주시 미술관 아트뮤지엄 려의 공모선정전, 신철순 작가의 《흙으로의 회귀》가 7월 24일부터 8월 11일까지 열린다. 40여 년간 도예 ...
- 2024-08-09
-
- 김미경 《달항아리의 행복》_2024.7.31.~8.6.
- 7. 31. ~8. 6. 아리수갤러리 김미경 작가의 개인전 《달항아리의 행복》이 7월 31일부터 8월 6일까지 아리수 갤러리에서 열린다. 작가는 백자 도판에 양각과 음각...
- 2024-08-09
-
- 최민지, 정화백 《시원한 여름나기》_2024.7.29.~8.23.
- 7. 29. ~8. 23. 병원안갤러리 최민지, 정화백의 2인전 《시원한 여름나기》가 7월 29일부터 8월 23일까지 병원안갤러리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여름의 청량한 풍...
- 2024-08-09
-
- 《반아호연》_2024.7.12.~8.25.
- 7. 12. ~8. 25. 소대헌·호연재 고택㈜세이버스코리아, ㈜말리카가 주최 및 주관한 K-헤리티지 아트전 《반아호연》이 7월 12일부터 8월 25일까지 45일간 대전 소대...
- 2024-08-09
-
- <안병진 도자전>_2024.8.2~8.18.
- 8.2~8.18. 빈집예술공간여주세종문화관광재단의 전시 지원사업으로 2024년 6.14~7.28일까지 여주도자문화센터에서 열린 전시에 이어 빈집예술공간에서 8.2~18일까지...
- 2024-08-05
-
- 한애규, 오병욱 <어떠한 바다>
- 7. 19. ~8. 10. 아트사이드 갤러리 2024년 7월 19일부터 8월 10일까지 도예가 한애규와 회화 작가 오병욱의 2인전 가 7월 19일부터 8월 10일까지 아트사이드 갤러리에서...
- 2024-08-02
-
- 신철 <군자의 시선>
- 6. 25. ~7. 14.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신철 작가의 달항아리전 이 6월 25일부터 7월 14일까지 이천시립월전미술관에서 열린다. 작가는 조선 후기에 잠시 출현하는 것...
- 2024-08-02
-
- 윤여동 <스월Swirl>
- 6. 25. ~7. 9. 아티움베넷 윤여동 작가의 국내 첫 개인전 이 6월 25일부터 7월 9일까지 아티움베넷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알루미늄 주물로 제작된 식기 네 점과 ...
- 2024-08-02
-
- 이병권 <달과 사발>
- 7. 2. ~7. 7. 김해분청도자박물관 김해분청도자박물관에서 이병권 작가의 다섯 번째 전이 7월 2일부터 7일까지 김해분청도자박물관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의 부...
- 2024-08-02
-
- <도자기, 풍류를 품다>
- 6. 21. ~9. 22. 국립광주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은 6월 21일부터 9월 22일까지 '도자기, 풍류를 품다' 특별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정자'를 중심으로...
- 2024-08-02
- 전시더보기
-
-
- 이동식의 달항아리_2025.1.17.~2.15.
- 1. 17. ~2. 15. 운중화랑 전시 전경달항아리, 피안의 세계를 담다18세기 잠시 나타났다 사라졌다고 여겼던 백자대호가 300년이 지나 다시 주목 받는다. 달항아리가 가지는 동 시대성을 의미하는 것일까? 점차 개별화되고 간결한 미를 추구하는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이만큼 부합하는 것도 없다. 무채색 흰 빛깔과 살짝 일그러지며 흐르는...
-
- 2024 고흥분청문화박물관 입주작가 성과 기획전 《분청변주》_2025.1.27.~3.30.
- 1. 27. ~3. 30. 고흥분청문화박물관 기획전시실젊은 도예가들의 3색 분청 변주곡2024년 고흥분청문화박물관 레지던시 프로그램에는 윤준호, 전희은, 이정빈 3명의 젊은 작가들이 입주해 작업했다. 윤준호 작가는 올해 레지던시 입주 5년 차로 4년간 레지던시에서 계획하고 실험, 모색해 온 것들을 정리, 완성하는 동시에 올해는 특별히 귀얄과 분.
-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_2024.11.26.~3.3.
- 2024. 11. 26. ~3. 3.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2상형청자의 다채로운 세계를 조명하다지난 2024년 11월 26일부터 2025년 3월 3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한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는 고려 시대 상형청자象形靑磁를 단독 주제로 집중 조명하는 전시였다. 상형청자象形靑磁란 인물, 동물, 식물 등의 형상을 본떠 만든 청자...
-
- 《한국현대도자공예:영원의 지금에서 늘 새로운》_2024.11.21.~5.6.
- 2024. 11. 21. ~5. 6.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박정훈30년 만에 다시 보는 한국현대도예현대도예의 태동과 오늘인간과 예술에 관한 논의를 할 때면 흔히 최초의 미술품인 선사시대의 동굴벽화를 화두로 삼는다. 당시의 문화나 신앙 등 사회 상황을 잘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라면 토기나 장신구 등과 같은 초...
-
- 대한민국분청도자대전 15년의 발자취
- 전시전경김해분청도자박물관은 1월 24일부터 3월 30일까지 기획전 시실에서 을 주제로 한 특별 전시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는 우리나라 최초의 분청도자 전국 공모전인 이 걸어온 15년간의 발자취를 조명하고, 현대 분청도자의 흐름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은 분청도자의 우수성과 미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 전통과 현대를 아.
- 도예마당더보기
-
-
-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9]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白磁象嵌牡丹紋瓢形甁
- 사진1)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조선시대 15세기. 높이 19cm, 입지름 2cm, 바닥굽 지름 5.8cm태조 이성계의 조선왕조가 시작되면서 사회, 정치, 문화의 각 분야에 변화의 바람이 몰아치는 도중에 생활과 밀접한 도자기 또한 고려청자의 틀에서 새롭게 두 갈래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고려시대의 맥을 그대로 이은 조선 상감청자와 중.
-
- [소소담화39] 한국 공예의 하이엔드 high-end화와 전통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많은 소상공인이 어려움을 겪고 국내 산업 생태계의 생산성이 약화하였다지만, 미술과 공예계는 호황이었다. 프리즈frize 열풍이 불었고 키아프KIAF까지 열풍에 편승하며 「코로나 속 미술시장 호황」, 「화랑가 뜨거운 세일」, 「불붙은 경매 시장」, 「아트페어 속 오픈런」, 「완판, ..
-
- 2025 중국 랴우후 장작가마 동계 캠프
- 중국 윈난성 취칭시 랴우후는 1,200년 도자공예 역사를 가지고 있는 주로 생활 도자기를 생산하여 중국의 서남부지역에 공급해 온 작은 마을이다. 중국도 자사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마을이지만 1,000여 년 동안 꾸준히 장작가마를사용하여 생활도자기를 생산해왔고 현재에도 30여 개의 장작가마에서 100여 명의 도예가들이 주로 화병이나 ..
-
- Ceramic Brussels 2025_ 흙과 불이 나누는 이야기, 현대도예
- 전시장 전경벨기에 브뤼셀에서 세계 최초로 시작된 Ceramic Art Fair가 2025년 1월 22일부터 26일까지 4일 동안, 두 번째로 개최되었다. 행사 전부터 주최 측은 상세한 설명과 함께 여러 매체를 통해 적극적으로 아트페어를 홍보하였다. 첫날의 오프닝은 전문가들과 초청객을 위한 행사였고, 두번째 날 부터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었다. 전시장은 올해...
-
- 도예의 도시 캔자스 시티 예술 교육에서 창작까지 2부
- 새로운 뿌리를 내리는 한국 도예 작가들미국에서 작업하는 한국 작가들에게 “이곳은 집이 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은 익숙한 고민일 것이다. 특히, 도예라는 매체는 물성과 시간성을 품고 있으며, 전통과 현대, 지역성과 세계성을 동시에 아우르는 특성을 가지기에, 새로운 환경에서 작업하는 것은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 흙을 빚고...
-
- [에세이 ESSAY 3] 그릇이 된 생각들_바우단지
- 1992년생 이바우(1993, 04)옹기집 막내 이바우, 이바우는 새로운 일로 옹기일을 붙들었을 때 찾아왔다. 위로 오빠가 ‘물’이고, 언니가 ‘솔’이다. 그래 태어나기도 전에 ‘바우’였다. 딸이면서 ‘바우’를 이름으로 얻었다. 당시 산아제한정책이 있었고 세 번째는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았다. 집에서 낳아야 했다. .
-
- [2024 주요 대학 졸업 전시3]
- 졸업 전시는 미래의 도예가들이 펼쳐 나갈 작품 세계의 예고편이다. 독창적인 조형성이 돋보이는 작품부터 완성도가 뛰어난 작품, 쓰임을 디자인으로 승화한 작품 등을 선별했다. 도예계에 새 숨결을 불어넣을 졸업생들의 생동한 작품에 주목해 보자. 이화여자대학교 도자예술전공 허지윤 「부해」 45×48×69cm | 백조형토, 안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