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1월호 추천도서
- 도예가를 꿈꾸는 이들에게『조정현의 도자세계』글. 이윤경『조정현의 도자세계』조정현은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에서 도자예술을 전공한 한국 현대도예...
- 2025-01-13
-
-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된 도자의 매력, ‘2024 경기도자페어’
- 한국도자재단이 주최하는 ‘2024 경기도자페어’가 홈테이블데코페어와 동시 개최로 12월 12일부터 15일까지 서울 코엑스 B홀에서 열렸다. 국내 유일의 도자 전문 전시회인 이번 행사는 ‘요즘도자...
- 2025-01-07
-
- <오늘전통창업>, 전통문화산업 예비창업자 및 초기기업 발굴·육성 성과
- 전통문화 창업기업, 코엑스 창업 페스티벌 에서 국제 교류 및 투자 유치전통문화 창업기업들의 성장과 성과를 기념하는 ‘2024 오늘전통창업’ 전시 및 시상식이 12월 11일부터 12일까지 코엑스에서 ...
- 2025-01-07
-
- 김해공예창작지원센터, 동남권 공예 문화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 김해공예창작지원센터는 동남권 공예 문화 산업의 새로운 중심지로 도약하며, 지역 공예가와 시민 모두에게 폭넓은 지원과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센터는 기존 세라믹창작센터를 리모델링하여 장작가마...
- 2025-01-07
-
-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제44기 도슨트 모집 공고
-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은 제44기 도슨트를 모집하며, 모집 대상은 본교와 타 교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 휴학생까지 포함된다. 모집 기간은 2024년 12월 16일부터 2025년 2월 14일까지로, 지원자는 자원봉사 신청...
- 2025-01-07
-
- 공예청년인턴십 지원사업, 2025년 참여기관 모집… 청년 일자리 창출 박차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2025년 ‘공예청년인턴십 지원사업’을 통해 공예 분야 청년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 이번 사업은 공예기관과 기업, 공방 등 청년인턴을 채용하는 참여기...
- 2025-01-07
-
- 국제 도예 심포지엄 ‘세라믹 랩 2025’, 참가자 모집 시작
- 라트비아 다우가브필스에 위치한 로스코박물관이 주최하는 가 2025년 4월 28일부터 5월 16일까지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현대 도예의 실험과 창작을 위한 글로벌 플랫폼으로, 전 세계 도예가들에게 창작 및 ...
- 2025-01-07
-
- 전신연 《서체, 바디와 나레이티브: Typeface, Body and Narratives》_2025.1.13.~2.28.
- 1. 13. ~2. 28. 사우스 갤러리 (칼슨 도서관에 위치함), 톨레도 대학교, 톨레도, 오하이오, 미국미국 오하이오 주 톨레도 대학의 칼슨도서관이 주최하는 2024-2025 칼...
- 2025-01-07
-
- 권대섭 《돌아오는 Reduction》_2024.12.19.~2025.2.16.
- 12월 19일부터 2025년 2월 16일까지 권대섭 도예가의 개인전 과 정원 디자이너 황지해 작가의 개인전 가 조현화랑 1층과 2층 전시장에서 동시에 개최됐다. 이번 전...
- 2025-01-07
-
- 이달의 전시일정_2025.1
- 제4회 오종보 개인전 《New Start》12. 23. ~1. 1. LYNN Fine Art Gallery 02)544.2639심재현 도예전12.20. ~1. 5. 비담은 0507)1334.36102024 충북의 공예가 기획전 《네 가지, 그러한 것》11. 5. ~1. 14. 청주시한국공예관 043)219.1800김...
- 2025-01-07
-
- 한겨울 개인전 《山明水秀》_2024.11.17.~11.23.
- 11. 17. ~11. 23. 원도심어울림센터「보령머드 수묵산수화 샷잔」 5cm I 자기소지 보령머드충남문화관광재단의 신진예술지원사업에 선정된 한겨울 작가의 개인전...
- 2025-01-06
-
- 2024성남작가조명전4 《고혜숙: 공간을 유영 遊泳하는 대화》_2024.8.30.~10.20.
- 8. 30. ~10. 20. 성남큐브미술관 반달갤러리사-잇길에서 나를 찾다.고혜숙의 작품 제목인 「사-잇길 Inbetween」은 그의 작업의 정체성과 지향점을 잘 압축하고 있다...
- 2025-01-06
-
- [도예실습18] Esay굽판통 (탈착식 굽판과 굽통)
- 삼앗이 이창용 도예가와 함께하는 도예 실습품앗이의 현대화(지앗이-지식의 품앗이, 정앗이-정서의 품앗이, 품앗이-노동의 품앗이)인 삼앗이 주창하는 이창용...
- 2025-01-06
-
- 예술과 공예가 만나는 공간, ‘아트스페이스 트인’의 새로운 시작
- 트인건설은 3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기업으로, 인천을 기반으로 지역 예술인들과 주민들에게 창작과 예술을 가까이서 접할 기회를 제공하는 트인 공간 리...
- 2025-01-03
-
- 기器로 쌓는 풍경_ 안나 실버톤
- 안나 실버톤Anna Silverton은 캠버웰camberwell대학에서 도예 학사를, 왕립예술대학Royal College of Art, RCA에서 도예유리 석사를 취득하고, 미국 시러큐스대학, 영국의 ...
- 2025-01-03
-
- 2024 도자특화인재 창업창직 지원사업_ 한국세라믹기술원
- 최우수 교육생에서 나만의 브랜드를 이끄는 대표가 되다 !올해 도자특화인재 창업창직 지원사업에는 창업을 꿈꾸는 작가들과 이제 막 창업을 시작한 초기 창...
- 2025-01-03
-
- [소소담화36] 감춰진 존재 : 공예계의 협력자들
- 로버트 모리스가 1970년 휘트니미술관에서 연 개인전 《로버트 모리스: 최근작 Robert Morris: Recent Works》는 현장에서 콘크리트, 목재, 강철을 쏟아붓고 완성했다. 작품 길이가 29m에 이를 정도로 광대하여 휘트...
- 2025-01-03
-
-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6] 청자 오리모양 연적 靑磁鴨形硯滴
- 사진1) 「청자 오리모양 연적」 고려시대, 길이:19cm, 높이:14.5cm, 넓이:11.3cm오리는 고조선시대 청동기 유물이나 삼한시대 소도의 솟대 등에도 등장하며 삼국시...
- 2025-01-03
-
- 손으로 빚는 목가적 미감_ 이재용
- 이재용은 장작 가마를 활용해 푸레 또는 꺼먹이 기법으로 ‘일상을 좀 더 풍요롭게 하는 작품’을 만드는 작가이다. 스스로 ‘만들고 싶은 것을 만드...
- 2025-01-03
-
- 한국미술 속 화이불치의 미감을 그리다_ 서수영
- 2024성남작가조명전Ⅴ서수영 《HERITAGE CODE: 헤리티지 코드》11. 1. ~12. 22. 성남큐브미술관 반달갤러리서수영(b.1972-)은 동시대 통용되는 ‘한국미’의 근원...
- 2025-01-03
- 전시더보기
-
-
- 2024성남작가조명전4 《고혜숙: 공간을 유영 遊泳하는 대화》_2024.8.30.~10.20.
- 8. 30. ~10. 20. 성남큐브미술관 반달갤러리사-잇길에서 나를 찾다.고혜숙의 작품 제목인 「사-잇길 Inbetween」은 그의 작업의 정체성과 지향점을 잘 압축하고 있다. 그는 전통과 현대, 물질과 정신, 사람과 자연, 사람과 사람의 관계 사이를 주제로 작업하고 있다. 그의 작업의 주제이자 추구하는 방향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의 전통에 ...
-
- 대부도 유리섬박물관 기획전 2024 《현대미술–오브제》_2024.10.8.~25.2.2.
- 10. 8. ~25. 2. 2. 유리섬박물관물질에서 유출한 동시대 미술의 사물성과 시각언어의 다채로움예술가의 정신이 형태가 되려면 물질la mariere이 필요하다. 예술가의 정신이 결여된 물질은 단지 자연의 질료에 불과하다. 물질은 고유의 형상, 색채, 질감, 밀도, 결을 가지고 있다. 물질이 예술의 언어가 되려면 예술가의 정신만으로는 부족하며 현실.
-
- 2024 충북의 공예가 기획전 《네 가지, 그러한 것》 11. 5. ~2025. 1. 14.
- 11. 5. ~2025. 1. 14. 문화제조창 본관 3층 청주시한국공예관 갤러리 3자연스레 그리된 관계에 관하여청주시한국공예관의 2024 충북공예가 기획전 《네 가지, 그러한 것》이 지난 11월 막을 올렸다. 청주시한국공예관은 지역문화의 가치를 높이고 경제 활성화와 도시재생을 위해 노력하는 미술관으로, 2001년 설립 이후 지역 예술가를 발굴하고 지원...
-
- 김명주 《Au bord de l’infini (무한의 가장자리에서)》_2024.10.26.~11.30.
- 10. 26. ~11. 30. P21(피투원)생의 한가운데나는 작가라는 존재들에게 신비에 가까운 경의와 무한한 감사를 가지고 있는 사람 중의 한 명이다. 가장자리에서 서성이던 나를 그 한가운데에 있는 누군가가 불러줘야만 비로소 만날 수 있는 예술의 세계는 내게 언제나 신비로운 것이었고, 내면에서 발화한 자신만의 특별한 세계를 자기 안에만 남기..
-
- 김영옥 《오늘과 내일 Moment in Time》_2024.11.15.~12. 6.
- 11. 15. ~12. 6. 호호재 서울오늘과 내일죽음에 대한 사유는 끊이지 않는다. 삶의 통과 의례이며 모든 시대와 문화에서 인간의 가장 중요한 탐구 주제 중 하나였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철학, 종교, 예술, 기술 등 각 분야는 저마다의 관점과 방식으로 미지의 세계인 죽음에 대해 깊이 있게 성찰해왔다.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죽음을 기억하라&...
-
- 김덕호 《시간이 흐르고 계절이 바뀌는 것처럼》_2024.11.7.~11.13.
- 11. 7. ~11. 13. 월WOL삼청시간이 흐르고 계절이 바뀌는 것처럼우리 모두는 각자의 시간에 자신의 것들을 쌓아 나간다. 무엇을 쌓아 나가느냐는 온전히 자신의 몫이며 쌓여가는 시간들은 흔적을 남기며 삶 그 자체가 된다. “시간이 흐르고 계절이 바뀌는 것처럼 의도하거나 계획하지 않음에도 나의 삶의 흔적들은 작품에 자연스럽게 배어 나...